군주론 - 강한 국가를 위한 냉혹한 통치론 e시대의 절대사상 6
강정인.엄관용 | 마키아벨리 / 살림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와 현재를 통틀어 많은 철학자와 사상가들이 있었지만 마키아벨리만큼 그렇게 유명하면서도 정작 그 본모습이 어떤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은 사람도 드물 것이다. 그의 대표적 저서인 「군주론」은 근대 유럽의 정치사상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인정 받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부도덕적이라는 이유로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그 비난의 역사도 꽤나 길어서 「군주론」은 발간된 지 오래지 않아 교황청의 금서목록에 올랐고 현대에 들어서도 미국의 정치 철학자인 레오 스트라우스가 마키아벨리를 '악의 교사'로 지목하기도 했다.
이렇듯 마키아벨리는 너무나 오랫동안 악명을 떨쳐 오늘날에도 마키아벨리주의라고 하면 목적을 위해서라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고방식으로 여겨질 정도이다. 그러나 마키아벨리의 사상은 곧 마키아벨리주의라고 볼 수 있을까?

저자는 「군주론」을 해설 하기에 앞서 마키아벨리의 생애, 당시의 시대상황 그리고 마키아벨리의 핵심사상을 몇가지 테마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또한 마키아벨리의 주요작품인 「로마사 논고」를 「군주론」과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마키아벨리가 옹호하는 정치 체제가 군주정인지 아니면 공화정인지 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마키아벨리의 수수께끼'로 불릴 만큼 중요한 논쟁거리 가운데 하나이다.

마키아벨리의 대표작인 「군주론」은 물론 「로마사 논고」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는 다양한 역사적 사례에서 정치적 교훈을 끌어내는 방식으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근본적으로 마키아벨리의 관심사는 국가의 자유와 존속에 있으며 그를 뒷받침하기 위해 현실주의에 입각한 정치를 행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왜냐하면 한 국가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권이 안정 되어야 하며, 수많은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고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정치 상황에서 이를 달성하려 면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중요시 해야 하기 때문이다. 마키아벨리는 온건한 수단으로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인간의 본성을 고려해 볼때 때로는 과감하고 잔혹한 조치도 취할 필요성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마키아벨리가 공화 주의자이냐 아니냐 하는 문제는 그의 저작인 「군주론」과 「로마사 논고」의 상이한 서술 태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마키아벨리 살아 생전에도 그의 입장이 어디에 있었는 가는 확실치 않은 듯 하다. 오늘날에는 자신의 생각을 훨씬 많이 포함하고 있는 「로마사 논고」에서의 관점 즉, 공화주의자로서의 모습이 본모습이라는 데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그러면 군주론은 어떻게 해석 되어야 하는지가 문제가 되는데 이 책에는 이에 관한 4가지 해석을 소개하고 있어 그의 저서들을 읽는 데 있어 여러가지 생각할 거리를 남겨주고 있다.

마키아벨리가 살던 시대에 이탈리아는 분열된 상황에서 스페인과 프랑스 등 외세의 잦은 침략에 시달렸다. 이런 시대적 상황을 볼 때 마키아벨리의 자유에 대한 개념 - 즉, 외부적으로는 국가의 독립 그리고 내부적으로는 시민에 의한 자치 - 현실주의 그리고 종교와 윤리와 분리된 정치영역의 독자성이 그의 정치사상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그의 사상은 그가 살던 특수한 시대적 상황에서 태어났지만 이미 많은 군주나 정치가들이 행했던 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어 보편적인 정치 사상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마키아벨리에 대한 많은 비난은 실상 그의 사상 일부에 대해 집중되고 부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마키아벨리주의는 마키아벨리 사상 핵심에 관한 것이 아니고 단지 그의 생각 일부를 마치 전체인양 꾸며논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이렇듯 인간에게 민감한 정치의 본질을 분석하고 체계화 했다는 점에서 마키아벨리가 정치사상의 발전에 큰 공헌을 했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 책은 마키아벨리 사상의 본질을 여러 테마로 나누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했으며 여러 참고 자료들을 상세히 소개해 놓음으로써 그의 고전을 읽어 나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