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만과 편견 ㅣ 소담 클래식 3
제인 오스틴 지음, 임병윤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5년 5월
평점 :
시직하자마자 다다다 쏘아대는 대화들은 제인 오스틴 문학의 특징이던가. 한 편의 연극의 시작을 보는 듯한 느낌도 든다. 베넷 씨와 베넷 부인이 동네에 새로 이사온 사람 이야기를 한다. 그때나 지금이나 새로운 사람들이 오면 이야기를 하는 것은 똑같나 보다. 자기네들끼리 그 사람이 어떻니 저떻니 하는 거 말이다. 하기야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베넷 부인은 딸이 자그마치 다섯이나 되고 큰 딸은 그때 당시로 말하자면 결혼정년기니 만큼 빨리 짝을 지워서 보내야 한다는 무슨 투철한 사명의식이라고 가진 것 같다. 더구나 새로 이사온 사람이 재산이 상당한 청년이라면 더욱더 눈에 불을 켜고 혹시나 우리 딸들 중 하나가 맞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엄마의 임무던가. 그렇게 베넷 가문과 빙리 씨의 첫만남이 이루어진다.
사실 다아시와 엘리자베스의 만남이 어떠했는지 너무나도 많은 다른 작품이나 영화 속에서 접했기 때문에 당연히 이 작품을 안다고 생각했었다. 읽으면 읽을수록 새로운 면을 주는 걸 보니 필시 이 작품을 읽은 것이 아닌 여러 동영상 들에서 이야기의 줄거리만 파악하고 있었나보다. 그들의 첫인상은 썩 좋지 못했다. 그래서 이 작품의 원제목이 '첫인상'이었나보다. 이후에 차츰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을 거치면서 서로가 서로의 짝이라는 것을 알게 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예전에는 얼굴도 보지 않고 중매로 결혼을 많이 하곤 했었다. 조선시대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 시대에도 그러했으니 말이다. 이야기 속에서도 결혼에 관한 굉장히 빠른 결정이 이루어진다. 특히 베넷 씨네 아들이 없다는 이유로 재산이 콜린스에게 넘어가고 그는 그것을 미안하게 생각하며 이 다섯 딸 중 하나와 결혼하기를 원한다. 참 결혼도 쉽게 한다는 생각도 들고 그렇게 결혼을 해서 잘 살려나 하는 생각도 든다. 물론 그의 계획은 또 다른 길로 방향을 틀어버리지만 말이다.
첫만남이 괜찮다고 여겼던 빙리 씨와 제인 의 관계도 후딱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그들의 관계를 방해하는 인물들 때문이다. 서로에 대한 마음이 있다면 어떤 방해가 있다 하더라도 나중에라도 만나게 되는 것이 인연일까. 그렇다면 그들의 관계는 인연일까. 여기저기서 뚝딱 등장을 했던 인물들이 베넷 씨의 딸들과 이리저리 맞춰지면서 이야기는 전개된다. 그들의 뒤에는 물론 방해를 하는 인물들도 등장한다. 우리나라의 일일 드라마를 보듯이 말이다. 면전에 대고 돈봉투를 내밀지 않는 게 다른 점이랄까. 시대가 흘러도 변하지 않는 인간사라니.
고전인만큼 지금과 다른 면도 눈에 보인다. 가령 여자가 정조를 잃으면 끝이라고 생각하는 관념이다. 설마 지금도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은 없을테지만 그때는 서양 사람들이라 할 지라도 순결이라던가 하는 집착 같은 것이 있었던 것 같다. 본문 속에서 남자들은 ~씨라고 표현하며 여자들은 이름으로만 표현되는 것도 조금은 눈에 거슬렸는데 아마도 원작에서 미스터라는 인칭을 쓴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것만 하더라도 작가의 생각이나 그때 당시의 사상에 대해서 엿볼 수가 있다.
오만과 편견이라는 제목답게 이 책에는 오만이라는 단어가 참으로 많이 나온다. 특히 다아시의 성격을 설명할 때 반복해서 쓰이기도 하는데 영어로 프라이드라는 단어로 번역되는 오만. 사실 프라이드는 자존심이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굳이 오만이라는 뜻으로 번역하지 않아도 되었겠지만 그의 캐릭터를 설명할 때 딱 맞는 표현이 오만이기도 때문에 아마 자존심으로 번역했다면 전혀 다른 느낌의 다아시가 나왔을 것이다. 엘리자베스는 왜 그리도 다아시를 오만하게 본 것일까. 청혼을 거절하며 엘리자베스가 다아시에게 따박따박 대꾸하는 문장을 읽을 때면 너무 서슬이 퍼런 것 같아 그러지 말지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아니나 다를까 나중에 후회하는 리즈. 말은 한번 뱉으면 끝이니까 언제든지 조심해서 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는 것이랄까. 그녀 또한 다아시에게 편견을 가지고 있었으니 어쩔 수 없었다고나 할까.
좋은 것이 좋은 것이라고 모두가 다 해피했어요 라고 끝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람의 관계라는 것이 어디서 언결이 될지 모르기에 다른 것을 기대하게 만들며 더욱 재미나게 빠져드는 로맨스 소설의 정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