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을 살다 (문고본) - 소설을 쓰기까지 먹고 듣고 읽고 느끼고 배우고 경험한 소설가의 모든 것 마음산 문고
이승우 지음 / 마음산책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문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작가의 삶에 대해 쓰인 책들 중 지금까지 이 책만큼의 흥미를 끌었던 책은 <작가란 무엇인가>, <소설가의 일>,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아직 오지 않은 소설가에게> 정도였던 것 같다.


우연히 들르게 된 작은 동네책방에서 발견하게 된 책은 출판사의 이름을 보고 일단 믿을 만하겠다는 판단을 하게 됐고, 문고판으로 판형을 바꿔 재발행될 정도면 출판사의 자신감이 담겨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출판사의 자신감은 책의 마지막장을 덮을 때까지 유효한 성질의 것이라는 걸 확인하게 됐다. 익히 우리가 <식물들의 사생활>에서 발견했던 소설가로서의 이승우가 아닌 명실공히 '에세이스트 이승우'가 거기에 있었던 것이다.


이런 뒤늦은 발견은 나의 과문함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겠으나, 다른 요인도 분명 있었던 것 같다.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이승우 선생의 에세이를 크게 기대해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소설을 잘 쓰는 일과 에세이를 잘 쓰는 일은 분명 다르고, 그 두 가지 형식의 글을 다 잘 다루는 작가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작가들 또한 있기 때문이다.


흥미로웠던 건 에세이의 문체적 특징이 예의 그의 소설을 닮아 있었다는 점이다. 연필로 신중하게 한 글자 한 글자 꾹꾹 눌려 쓴 것 같은 문장들. 내 기억이 맞다면, 엔젠가 어떤 팟캐스트 방송에서 그는 자신의 글쓰기를 '나사못'에 비유했던 것 같다. 한 곳을 집요하게 파고들면서 구체성과 정확성, 성찰성을 확보하는 글쓰기 말이다. 2000년대 중반의 시대적 사회적 상황을 배경으로 두고 유유히 흐르는 글은 단정하고 흐트러짐이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글이 얼마나 신중하고 공들여 쓰여졌는지를 독자의 체험으로 되돌려주는 글쓰기. 


지금부턴 이렇게 기록해두어야 할 것 같다. 에세이스트 이승우.

아무도 제 스스로 자라지는 않는다. 사람은 그가 속한 사회와 환경의 자식이다. 그런 뜻에서 모든 사람은 예외 없이 고향의 자식일 것이다. 이제까지 나는 고향과 상관없는 사람처럼 살았지만, 아, 나는 인정해야겠다. 고향의 물과 바람과 흙이 나를 키웠다. - P24

소설의 주제는 사람이다. 나는 그렇게 이해한다. 소설은 사람에 대해 이야기하고, 사람에 대해서만 이야기한다. 사람이 아닌 다른 어떤 것, 이를 테면 동물이나 식물, 바다나 산, 혹은 악마나 신에 대해 꽤 길고 상당히 구체적으로 말하기도 하지만, 그러나 우리가 그들에 대해 말하는 것은 사람에 대해 말하기 위해서일 뿐이다. 심지어는 신들의 이야기인 신화조차도 실은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 P54

고독은 무형의 정신이다. 그저 조용한 것이 아니라 부러 조용해지는 것이고, 다만 혼자인 것이 아니고 스스로 고립되는 것이다. 침잠. 주변에 귀 막고 현상에 눈 감고 오직 깊이 가라앉음으로써 귀와 눈을 막고 닫는 것이다. 그리하여 깊이 가라앉아 있는 자기 안의 자기를 찾아내는 것이다. 더 깊이 내려가는 자는 더 깊은 자기와 만난다. 그럴 때 고독의 일부가 된 우리의 내부에서 그윽한 빛이 피어오른다. 통찰력과 창조의 에너지는 그렇게 생성된다. - P78

내 소설이 잉태된 대표적인 자궁으로 나는 흔히 기억과 책과 공간을 든다. 기억은 얇거나 두껍고 멀거나 가깝고 사소하거나 거창하다. 그러나 그것들이 소설 속으로 들어올 때 원형을 환기시키지 않는 기억이란 없다. 얇든 두껍든, 멀든 가깝든, 사소하든 거창하든, 기억되는 그것이 인간 조건의 어떤 부분을 증거하지 않는 법은 없다. 그 때문에 기억은 언제나 결정적이고 때로 치명적이기도 하다. 소설가의 기억이 소설을 만든다. 소설가의 어떤 얇거나 두꺼운, 멀거나 가까운, 사소하거나 거창한, 그러나 결정적이고 치명적인 기억이 소설의 배아다. 기억할 것이 없는 사람은 소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람이다. 소설 역시 그런 사람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소설이 기억의 형식이라는 말은 그런 뜻에서 옳다. - P1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