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억 역사의 상상 - 우리시대의 지성 5-011 (구) 문지 스펙트럼 11
주경철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시작이 학부생들의 수업용으로 준비한 프린트,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수업에 관련된 역사서를 학생들에게 소개하기 위한 프린트물에서 시작되었다는 저자의 말대로, '역사의 기억, 역사의 상상'의 주 내용은 서구의 역사 저작 십여권에 대한 소개와 요약이다.그러나 단순한 요약문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서평에 가깝고, 더 나아가서는 문제의 저작들이 다루고 있는 시기 및 논점에 대한 저자의 풀어쓰기, 혹은 자세한 해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자칫 이 책이 무거워 보일수도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재미있고 수월하게 읽힌다는 것이다. 소개되는 저작들 자체가 역사 저작들 중에서는 비교적 딱딱하지 않은 현대의 연구성과라는 점도 있겠지만, 역시 원본을 읽기에는 상당한 인내심을 요구하는 책들을 이처럼 흥미롭게 소개할 수 있는 것은 저자의 능력이다. 다루고 있는 내용의 심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핵심을 짚어주고, 어려운 내용을 쉽고 산뜻하게 설명할 줄 아는 저자에게 찬탄을 표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이 다른 책들에 대한 요약과 소개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서문에 '요약하는 자들은 지식과 사랑을 모두 망쳐놓는 놈들이다'는 다빈치의 말을 인용했지만, 내 생각에는, 요약도 이정도면 썩 괜찮다. 그리고 앞서 말한 대로 단순한 요약이라기보다는 저자 나름대로의 다시 보기, 혹은 해설이라는 측면이 더 강하다.

이 책을 읽다보면, 역사가 단순히 과거 사실을 나열하는 죽은 학문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가 가지고 있는 현상, 혹은 관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가를 추적하는 학문이라는 것이 생생하게 느껴지고, 그래서 즐겁다.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그러나 한가지 경고. 다루고 있는 내용에 비해 수월하게 읽히는 책이기는 하지만,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저작들은 대부분 기존의 역사 관념을 새롭게 조망하고자 하는 쪽에 속한다. 따라서 역사의 기본적인 사실 자체를 설명해 주고 있는 책은 아니기 때문에, 이 책을 읽기 위해서는 최소한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서 배우는 정도'의 역사 지식은 기본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