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복의 <더불어숲>은 1998년에 1, 2권으로 나뉘어 처음 출간되었다. 20세기의 저물녘인 1997년 한 해 동안 '새로운 세기를 찾아서'라는 화두를 지니고 22개국을 여행한 기록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세계사가 뒤바뀐 기억의 장소에서부터 세계화의 한파가 몰아치는 삶의 자리까지 신영복의 편력은 깊고 너른 여정이었다.

문자 그대로 '동서고금'을 아우르는 신영복의 해박한 지식, 현실에 대한 겸손하되 날카로운 인식, 세상을 향한 정직하고 따뜻한 통찰을 벼린 글과 더불어 그림과 사진으로 엮어낸 이 책은 초판 출간 이후 수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다. 이어 2003년에는 한 권의 합본호로 선보이기도 했다.

이처럼 우리 시대의 고전이 된 <더불어숲>을 초판 발간 18년 만에 돌베개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출간한다. 이번 개정판은 한 권의 소프트커버본으로 꾸며 책의 무게를 줄였다. 내용을 부분 개정했으며, 표지 제호와 표지.본문 디자인까지 모두 새롭게 바꾸었다.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삶과 사상의 정수를 담다"
공적 자리에서 사람을 지칭할 때는 직함을 부르거나 씨를 붙이거나 이름만 부르는 게 예의지만, 그럼에도 자연스레 이름 뒤에 선생, 선생님을 붙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바로 신영복 선생이 그렇다. 그가 오랜 기간 교수로 지내서, 사회의 원로라서 그리 된 게 아니라, 그의 삶과 사상을 담아내는 그릇이 ‘강의’이고, 그를 아는 많은 이가 ‘강의’로 그를 만났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마지막 강의를 마치고 그간의 강의를 한데 모아 정리한 <담론>은 신영복 삶과 사상의 정수라 해도 부족함이 없겠다.

마지막 강의는 세계를 해석하는 창으로서 ‘고전 읽기 교실’과 이를 바탕으로 자기 삶을 돌아보고 인간을 이해하는 과정으로서 ‘인간학 교실’로 이루어진다. 세계와 인간, 세계와 나가 그렇듯 강의를 꿰뚫는 핵심은 관계다. 신영복은 모든 담론의 중심에 관계를 두고 이야기를 풀어가며, 관계가 확장되는 변방에서 변화와 창조의 가능성을 살핀다. 자신의 강의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읽히길 바라며, 이 책을 우연한 점으로 삼아 각자가 선과 면을 만들어 가길 권한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그는 훌륭한 스승답게 방향뿐 아니라 도전에 필요한 용기까지 강의에 담아 두었다. 책으로 만난 그의 제자로서, 고마우면서도 아쉬운 마지막 강의를 곱씹는다.

 

 

1988년 첫 출간된 이래 지금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가슴에 깊은 감동을 남기며 이 시대의 고전으로 기록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의 증보판. 저자의 출소 이후 발견된 메모노트와 기존 책에 누락된 편지글들을 완벽하게 되살려냈다.

기존 책에는 없는 1969년 남한산성 육군교도소에서 기록한 글들과 1970년대 초반 안양 대전 교도소에서 쓴 편지들이 빠짐 없이 담겨 있어 저자 20대의 사색 편린들과 어려웠던 징역 초년의 면모까지 살펴볼 수 있다. 일부 편지의 원문을 그대로 살려 실었을 뿐 아니라 수신자 중심이 아닌 시기별로 구성되어 있어 저자의 20년 20일 동안 옥중생활과 고뇌 어린 사색의 결정들을 더욱 가깝게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