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편한 편의점 ㅣ 불편한 편의점 1
김호연 지음 / 나무옆의자 / 2021년 4월
평점 :
품절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파트 도서관에서 <일의 기쁨과 슬픔>만 빌려오려다 가벼운 소설 한 권만
더 빌릴까 하여 집어든 책이 <불편한 편의점>이었다.
제목과 다르게 편하게 술술 잘 읽혔다.
아무래도 '편의점'이라는 단어에서 오는 친밀함과 익숙함도 있었겠지만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이 지루하지 않았기 때문이리라.
우연히 편의점 사장의 파우치를 주운 것이 계기가 되어 노숙자에서 편의점 야간 알바를 하게 된
'독고'씨와 그 주변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인데
하나 씩 새롭게 등장하는 인물들의 모습을 묘사하면서 작가는 한국 사회의 문제를 가볍게 툭툭 던지고 있다.
'독고'씨는 말투도 어눌하고 노숙자 출신이라는 사실 때문에 처음에는 사람들이 그를 좀 가볍게 대하기도 한다.
그런데 그의 어눌한 말투로 내뱉는 말들을 가만 들어보면 참 논리적이라 어느 누구 하나 쉽사리 반박도 하지 못한다.
또, 그는 그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의 친절과 배려를 베푼다.
그런 그의 언행 덕분에 주변 인물들도 가게 상황도 조금씩 좋은 방향으로 변화한다.
소설을 읽어나갈수록 점점 '독고'씨의 과거가 궁금해지는데
마지막에 밝혀지는 그의 정체는 큰 반전이 아닐 수 없다.
그의 정체마저 사회 문제의 한 단면을 드러내는 것을 보고 씁쓸하면서도 한 순간에 한 가정이, 한 사람이 이토록
무너져버릴 수도 있구나. 싶고 따뜻한 한 사람의 영향이 또 여러 사람을 선한 방향으로
이끌기도 하구나, 싶어 참 괜찮은 소설이라 싶었다.
이 이야기를 각색하여 영화로 만들어도 괜찮겠다 싶었다.
내가 영화 전문가가 아니라서 흥행까지는 보장할 수 없겠지만
재미와 따뜻함 그리고 반전. 이런 것으로 충분히 관객들에게 어필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였을까?! 해마다 부산시에서 '원북원부산'이라고 해서 분야별로 그 해의
책을 선정하는데, 거기 후보에 이 소설이 들어가 있다.
나는 <불편한 편의점>에 한 표를 던졌다.
결국 삶은 관계였고 관계는 소통이었다. 행복은 멀리 있지 않고 내 옆의 사람들과 마음을 나누는데 있음을 이제 깨달았다. - P2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