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남자 김철수 - 서른 네 살, 게이, 유튜버, 남친 없음
김철수 지음 / 브라이트(다산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서 알게 모르게 남들과 조금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남들과 조금 다른 색깔을 가진 그들을 배척하거나 그들에게 차별을 가하고 있다. 

남들과 조금 다른 색깔을 가진 그들이라 함은 여러 부류가 있을 수 있는데

성소수자이거나 보이는 그대로 우리와 피부색이 다르거나 몸이 불편하거나

혹은 편부모가정이거나 (편부모라는 말부터가 나는 마음에 들지 않지만),

또 내가 모르는 평범하지 않은 삶을 사는 사람들일 것이다. 


그들은 아무 죄도 짓지 않고 자신들의 삶을 열심히 살아가고 있고,

남에게 어떤 해악도 주지 않고 살아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는 왜 차별을 가하는 것일까?!


나는 늘 그런 문제(?!)에 대한 사회의 시선과 편견들이 아주 많이 잘못 되었다고

느끼며 살아가고 있지만, 부끄럽게도 단 한 번도 그들을 위해 목소리를 같이 내거나 그들을 도와주거나 한 적은 없다.

어떤 사건이 터질 때마다 목에 핏대를 세워가 며 분노.만 했을뿐,

그게 다였다. 잘 살게 가만 놔두지 왜 저래?! 참 안 됐다. 라고만 했을 뿐.

다시 나의 일상으로 돌아가서 나의 삶을 살았다.


<보통 남자 김철수>의 김철수 작가는 책 제목에서 보듯이 그저 한없이 평범하기만을 바랐다.

그래서 이름도 대한민국에서 너무도 흔한 김철수로 개명했다고 한다.

책은 게이로서 살아가고 있는 김철수 씨의 에세이다.

그의 이야기를 통해서 게이라고 밝히는 그의 삶이 어떠했는지, 어떠한지 엿볼 수 있었다.


성정체성을 깨달았던 학창시절, 

군복무를 마치고 와서 아버지께 커밍아웃하던 날,

게이라서 누군가를 마음 편하게 좋아하지 못했던. 늘 짝사랑으로만 끝나던 사랑.

게이 커뮤니티를 찾아 다니며 다른 게이들이 어떻게 지내나 알고 싶고, 위로를 받으려 했던 시간들.

너무나 잘 맞는 사람을 만나 연애를 하고 유튜브를 시작하게 되었던 것 등등.

잘 몰랐던 한 사람의 삶을, 게이로서 어떻게든 자신의 삶을 잘 살아 내보려 했던 그의 노력들을 보고 나 자신을 돌아보았다.


나는 얼마나 행복한 사람인가?! 

누군가를 짝사랑하면서도 이 사람만큼 힘들어했던 적이, 

이 사람과 같은 고민을 했던 적이 있었나?!

내가 일해보고 싶은 곳이 있으면 이력서를 마음대로 넣어볼 수 도 있었고,


작가 김철수 씨에게는 남들이 쉽게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행동들을 함에도

게이라는 이유로 모든 것이 걸렸던 것이었다. 


커밍아웃을 하고, 유튜브를 하고, 책을 내고, 그러면서도 그는 끝내 조심스러워 할 수밖에 없다.

우리 사회는 온갖 쓸데없는 편견이 가득하니까 말이다. 

그의 용기와 노력에 앞으로도 늘 응원을 보내겠다. 


그리고 그의 삶에 대한 열정에도 응원을 보내며 나도 나 자신의 삶을 더 열심히 살아가겠다.

성소수자뿐만이 아니라 다른 색깔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이 조금은 나은 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게 목소리를 같이 내어야 할 기회가 온다면 기꺼이 같이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말이다. 



[다산북스로부터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언제 어디서든 자기 자신을 믿는 일이 최우선이라는 생각이 든다. 내가 원했던 바를 이뤄가고 있는 삶을 살면서도

이 모호한 기분을 떨치지 못했던 이유 중 하나는, 있는 그대로의 내 가치를 믿지 못했기 때문이다. 나를 둘러싼 외부는

내가 나를 믿지 못하게 끊임없이 나를 흔든다. 나는 계속 나를 놓쳤다가 찾았다가 한다. - P193

내 것이라 부를 수 있는 물건들을 아무리 많이 소유한다고 한들 그게 다 무슨 소용일까. 내가 늙어서 죽는 날이 되면.

결국 나와 함께 시간을 보낸 살아있는 것들과의 추억을 소중히 여기게 될 것 같다. 내가 죽은 뒤에도 가져가고 싶은 건

오직 그들에 대한 기억이 아닐까. 그리고 그걸 내 삶이라 얘기할 수 있지 않을까. - P2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