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이 책은 출간되지 않았고 교정지의 형태로 받아서 읽어보게 되었다.

그녀의 글에서는 녹록지 않았던 삶을 살았던 사람에게서만 볼 수 있는 무게가 있었다.

그리고 애정이 없으면 관찰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는 부분들을 이야기 하고 있었다.


그래서 어쩌면 친언니의 심정으로 이 험한 시대를 살아가야 할 동생들에게

나름의 팁.을 알려주었던 것이 아닐까. 그리고 그녀는 중력을 거스르고 아주 멀리

돌아올 수 없는 여행을 떠나버리고 말았다.

안타깝게도 유고 에세이집이었던 것이다. 


교정지를 다 읽고 나서 이 글을 쓴 사람이 어떤 삶을 살았는가 '김승미 기자'로 검색해보았다.  

그녀의 부고를 알리는 여러 기사들 사이로 추도사 한 편을 읽게 되었다. 

요령을 피울 줄도 모르고 쉬지 않고 돌아다니며 취재하고 글을 쓰는 사람. 

잠시 쉴 때 스스로 만든 명함에 "나는 내 삶에서 만난 사람들의 총체다."라고

적어 두었다고 한다. 


아 그래서 이 문장이 책의 첫 페이지에 적혀 있구나 싶었다.

열정적으로 살았던 사람. 따뜻했던 사람. 그런 사람이 남겨둔 글의 일부를 내가 읽었구나.


첫 번째 실린 글부터 좋았다.

너의 이름이 불리는 날들을 즐기고, 너 자신을 사랑하고, 너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아가라는 말.


나의 20대와 30대를 돌아보니 나 또한 그러지 못하고 그 시기를 지나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나는 누구에게도 그런 이야기를 해주지 못했구나.


너무 조급하게 생각할 것 없어.

남들보다 진학이, 취업이, 결혼이 좀 늦어도 아무 상관없어

너 자신을 알고 너 자신을 더 사랑해 주렴 이야기 해 줄 걸.


백수로 지내게 되는 시간도 너무 낙담하거나 겁먹지 말고 

계획을 세워서 할 건 하고, 누릴 건 누리고 그 시간을 효율적으로 잘 보내보라는 말.

언니도 그랬단다. 언니도 3년을 언론고시를 준비하며 백수 생활을 했다는 말.


누군가 먼저 가 본 길이 어떤지 이야기 해주는 것만큼 든든함이 또 있을까?!

마치, 해외여행을 처음 떠나는 친동생에게 여권을 만들 때부터

여행에서 돌아오기 까지의 과정에서 놓치기 쉬운 팁들을 하나씩 알려주는 느낌이었다.

예를 들면 여권 사진 찍을 때 화장 진하게 하지 말고, 밝은 옷 입어. 이런 느낌이였다고나 할까.

여행 가이드 책에는 절대 나오지 않을 팁 같은 것 말이다.


'자취방 같이 구해줄게'라는 글은 정말 친언니가 옆에서 해주는 말 같았다. 

그 넓디넓은 서울에서 싸면서도 괜찮은 집 구하기가 얼마나 막막할 것인가.


이 책은 이제 막 대학에 입학한 대학생들, 취준생들, 사회 초년생들에게 안겨주고 싶은 책이다. 

거짓말이라고는 절대 하지 않는 친언니가 해주는 말이야. 라면서


30대를 지나 곧 40이 되는 내게는 조금은 아련한 추억 되새김질 같기도 했지만

나도 이런 글을 쓸 수 있으면 좋겠다, 

나도 내 삶에 더 애정을 가지고 살아가야겠다, 생각하게 되었다.


1월에 출간예정인 이 책이 예쁜 표지와 속지로

그녀의 글을 더 빛내주는 결과물로 나왔으면 좋겠다. 





[동녘출판사로부터 교정지를 지원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