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지구는 없다
타일러 라쉬 지음, 이영란 감수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타일러 라쉬가 환경 관련 책을 냈다고??

여러 방송을 통해 그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는 있었지만 환경에 대해 관심이 많은지는 몰랐다. 우연히 타일러 라쉬가 환경에 대한 책을 냈다는 것을 알고 흥미가 생겨 읽어 보게 되었다. 


나도 몇 년 전부터는 환경을 생각해서 조금이라도 환경에 덜 해로운 행동을 하자고 다짐을 하고 면 생리대, 대나무칫솔, 다회용 화장솜, 바디워시 대신 비누사용, 텀블러 사용 등등을 하고는 있다. 


어느 정도는 나도 환경에 대해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잘 실천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모르고 있는 부분도 많았다. 

예를 들면 프롤로그에서 가장 많은 산소가 만들어지는 곳은 숲이 아니라 바다라는 사실!! 이걸 알고 있으면 바다가 더러워져도 상관없다는 식의 생각은 할 수 없다는 말! 


진짜 숲에서 가장 많은 산소를 만드는 줄 알았고, 어떻게든 삼림훼손을 적게 하고 

빌딩 위 옥상이라도 나무를 많이 심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환경에 대해서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해야하는지, 지금 얼마나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는지 어렵지 않게 쉽게 이야기해주고 있어서 더 좋았다.

정말 외국인이 쓴 책이 맞나 싶을 정도로 문장의 매끄러움과 단어 사용은 여러 번 놀라움을 주기도 했다. 


내가 환경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더 찾아서 얼른 실천에 옮겨야겠다.


많은 사람이 공기가 숲에서 만들어진다고 말하는데, 사실 가장 많은 산소가 만들어지는 곳은 바다이다. 바다에서 작은 플랑크톤이 번식하며 산소를 배출하는데, 그게 우리가 숨 쉬는 산소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이걸 알고 있으면 바다가 더러워져도 상관없다는 식의 생각은 할 수 없다. - P8

청바지 한 장을 만드는 데에는 물 7000L와 다량의 화학 약품이 사용된다 . 오염이 가격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은 소비자 가격만으로 판단해 ‘더 저렴한‘ 옷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건 속임수다. 몇 번 입고 버리는 옷은 그만큼 더 환경을 오염시키며, 우리에게 더 비싼 대가를 요구한다. - P71

텀블러 쓰기, 대중교통 타기, 불 끄고 나가기, 분리수거 하기... 많은 사람이 이런 방법을 생각하겠지만 그런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이런 수준은 훨씬 넘어야 한다. - P106

일본을 불매한 것처럼, 환경과 관련해서도 불매해야 한다. 왜 환경을 기준으로 세운 불매가 일어나지 않은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 P1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