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늑대 - 괴짜 철학자와 우아한 늑대의 11년 동거 일기
마크 롤랜즈 지음, 강수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컨셉부터 눈에 확 들어왔다. 
아니, 어떻게 늑대와 살 생각을 다 하셨어요? 죽을 걱정은 안 했어요?
죽지 않고 살아남았으니, 살아남은 자의 이야기는 읽어 봐야지 않겠나!
혹시 <나의 지구를 지켜줘>에 나오는 그 주인공 소녀나, 
애니멀커뮤니케이터처럼 늑대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걸까?

저자가 가진 것은 초능력에 가까운 것, 혹은 특별한 능력은 아니었던 듯하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너무 쉬워 보이지만, 누군가를 깊이 사랑한다는 것,
그것이 초능력에 가까운 예민한 감수성을 만들어낸 게 아닐까.
그래서인지 책장에서 그리움이 뚝뚝 떨어진다. 
어쩐지 눈물로 쓴 것 같다는 느낌이랄까. 
혹은 핏속에 흐르는 뜨거운 감정으로 글을 쓴 느낌이랄까.

잠시 다른 얘기. 최근 몇 년 사이, 조셉 콘라드, 제인 구달, 팔리 모왓 등 동물이 등장하는 책들을 드문드문 읽기 시작했는데, 아참.. 소설이지만 <비스코비츠>를 쓴 보파까지... 
동물학자들은 다 글을 잘 쓰는가?! 이런 생각이 들었던 거 같다. 
경험의 질과 차원 자체가 너무 달랐기에 그런 생생한 글이 나오는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그 책들을 읽고 보니 
'동물이 주인공인 어른용 책'은 '동물이 등장하는 가족영화'와는 또 다른 재미와 감동을 선사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팔리모왓의 <울지 않는 늑대>만큼이나 <철학자와 늑대>역시 즐겁게 읽었다. 두 책은 서로 다른 개성을 자랑한다.

팔리모왓이 일정하게 거리를 둔 자의 예리한 관찰력과 유머러스한 글솜씨를 특장으로 삼는다면,
마크 롤랜즈의 이 책, 함께 잠들고, 호흡하고, 달렸던, 어떤 가까운 동반자(?)의 부재에서 싹튼 이 책은 그 나름의 특장이 있다고, 그렇기에 눈물과 혈기까지도 느껴진다고 생각한다.
나로써는 이 책으로부터 호기심 이상의 위안을 얻었기에 강추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