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가면 2 : 동양 신화 까치글방 161
조셉 캠벨 지음, 이진구 옮김 / 까치 / 199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면 인간의 생명은 이야기를 들으며 커가는 지도 모른다. 우리 몸에 생명이 잉태되는 순간부터 이땅의 많은 엄마와 아빠들은 희미하게 느낄 수밖에 없는 그 존재에게 자신들이 얼마나 사랑하고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할머니들은 결코 무섭지 않은 호랑이의 전설들을 이야기해주며, 아름다운 별자리 이야기들과 이룰 수 없는 사랑으로 목석이 되버린 어느 신화속 신의 가슴아픈 사랑 이야기를 들으며 생명은 이제 스스로 이야기를 상상할 수 있는 인간으로 자라난다.

그리고 이제 그 이야기들의 대부분이 그저 지어낸 허구라는 것을 알아버린 어른이 되었음에도 여전히 그리스나 로마의 신화에 열광하고 또는 그 이야기들이 왜 생겨났는지 배경철학에 좀 더 깊은 관심을 갖게 갖게 되기도 한다.조지프 캠벨은 신화학의 세계적인 권위자이다. 원시신화, 동양신화, 서양신화, 창조신화등의 그의 책들은 이제 어른이 되어버린 우리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에 충분하다. 특히 신의 가면 두번째 저작인 동양신화는 동양신화가 태동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 나아가서 인도와 중국, 일본 티벳의 신화 이야기를 들려준다.

캠벨은 동양과 서양의 신화가 근본적으로 뿌리가 갔다고 한다. 마치 한 뿌리에서 뻗어나가는 가지처럼 신화는 하나의 근본에서 변형되서 각각의 고유한 그들만의 신화가 된다고 이야기한다. 특히 왕궁전체가 의식에 따라 산체로 매장되는 수메르의 풍습이나 16세기 인도의 왕이 자신의 몸을 스스로 자르는 행위들은 그들에게 있어서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였다.

희생자들의 몸이 거름이 되고 식물이 자라나서 그 식물을 다시 사람들이 먹는식의 죽음과 태어남은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서로 통하는 영원회귀의 신화를 가진 그들에게 있어서는 그러한 살해행위는 너무나 정당한 행위인 것이다. 또한 한 인간의 모습을 가진 신이 스스로의 몸에서 분화되어 인간만이 아니라 모든 피조물을 창조했기 때문에 세상의 모든 만물이 신적 실체를 가지고 있다는 인도의 신화는 처음부터 인간과 신이 구별되어 있다는 성서의 주장과는 너무나도 다르다. 성서가 지배하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세계에서는 특권을 부여받은 공동체가 존재한다. 즉 각각 자신들이 특수한 계시에 의해서 권위를 부여받았다고 생각하며 신의 이름으로 세계를 통일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점이 그들종교에서 성전의 이름으로 세상을 구하려는 역사를 쉽게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사람들의 일반적이고도 객관적인 공통된 생각에서 한가지 뿌리의 신화가 발생됐다 하더라도 그 공통점 못지않게 차이점 또한 크다. 하지만 고유한 민족이나 국가의 신화를 이해할 수 있다면 문화적, 정치적 분쟁이 좀 더 줄어들지 않을까? 한 민족의 정체성이 될 수 있는 신화를 생각하며 요즘처럼 그리스, 로마등 외국 신화에 대한 열기못지않게 우리 고유의 신화에 대한 책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아쉬움이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