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가 사악해질 때 - 타락한 종교의 다섯 가지 징후
찰스 킴볼 지음, 김승욱 옮김 / 현암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회에 몇 번 다닌 적이 있었다. 가지 않게 된 이유는 매번 같았다. 사람에 대한 실망. 교회는 선해야 한다고 믿었던 나에게 교회 안에서의 따돌림과 차별 등 문제가 벌어진다는 게 싫었다. "이웃을 사랑하라"는 기본적 교의도 지키지 않는다는 점에 실망했다. 물론 나부터도 지키기 어려웠다. 사람이 선과 악이 공존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었을까 싶지만, 그래도 종교인은 선했으면 한다는 게 하나의 바람이었다.


저자는 종교가 때로 사악해진다고 한다. 어떤 종교는 선하고 어떤 종교는 악하다는 게 아니다. 어떤 종교든 사악해질 수 있다. 소수라고 무조건 틀린 것도 아니다. 저자는 타락의 징조나 이유로 절대적인 진리 주장, 맹목적인 복종, '이상적인' 시대 확립, 목적이 모든 수단을 정당화하는 일 등을 들었다.


특히 '절대적인 진리 주장'과 '맹목적인 복종' 부분이 와닿았다. 일부 종교인이 '진리'를 내세우고, '지도자'에게 맹목적으로 복종하며 극단적 행태를 보이는 ‘그들의’ 종교는 이미 사악해졌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종교는 사람의 일부일 수는 있지만 전부일 수는 없다. 일부 극단적 행태를 보이는 종교인이 있다고 해서 잘못된 종교는 아니다. 같은 종교더라도 극단적 행태는 이해받지 못한다.


종교 속에서도 여성이 차별받는다는 사실은 안타깝게 다가왔다. 여성이 목사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은 최근에서야 등장했고, 가톨릭 수녀에 대한 착취도 문제로 떠올랐다. 여성 할례는 여전하고, 여성을 희생시켜 '공동체의 완전성'을 지키고자 하기도 한다고 한다.


결국 종교 간 융화, 그리고 발전해나가려는 자세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저자의 말처럼 "'우리'와 '그들'을 구분하는 위험한 세상에서 '우리'에 대해 건설적 대화를 나누게 되길" 바란다. 예전에 절과 신학대가 함께 개최한 세미나에 가본 적이 있다. 내용이 기억이 나진 않지만 서로 다른 종교가 서로를 이해한다는 사실이 좋았다. 서로 배척하지 않는 시대가 올 수 있을까?


종교에 대한 이야기는 예민할 수 있어서 리뷰가 어려웠다. 책은 좋았다. 리뷰에 불쾌한 사람이 없기를 바란다.

종교는 사람들의 가슴속과 머릿속, 그리고 그들의 행동 속에 존재한다 - P43

사람들이 하나님을 알고 있다는 생각에서 경전을 악용하고 절대적인 진리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전파한다면 파괴적인 결과가 생길 수 있다 - P92

종교의 자유가 있다면 종교로부터의 자유 또한 있다는 것을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 - P1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