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촌의 채식주의자 - 휘뚜루마뚜루 자유롭게 산다는 것
전범선 지음 / 한겨레출판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틀에 박히지 않은 그저 한 인간이고 싶었던 책방 '풀무질' 대표이자 출판사 '두루미'의 발행인, 사찰음식점 '소식' 대표 등 다양한 일을 하고 있는 밴드 '양반들'의 보컬 전범선이 자라온 이야기와 함께 쌓아온 생각을 풀어냈다. 민사고 졸업 후 다트머스 대학교를 가고, 컬럼비아 로스쿨에 합격하는 등 '탄탄대로'를 걷다가 다른 길을 선택한 연유, 채식주의를 하는 이유, 해방촌에서 스스로를 '해방촌장'이라 일컫는 이유가 흥미롭게 담겼다.


처음 와닿았던 부분은 '외국에서의 이름'이다. 예전에 어느 한국계 미국인 배우가 '유명해지면 어느 나라 이름이든 다 기억한다'고 말했던 적이 있다. 내 이름이 한국 이름이라 외우기 어렵다면 그 사람에게 내가 그만큼 중요한 인물이 아니기 때문이다. 


나도 미국에 잠시 있었을 때, 그들이 부르기 쉬우라고 굳이 내 이름을 바꿀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래서 한국 이름을 고집했다. 친구는 다시 가르쳐주면 되고, 친해지면 다 비슷하게는 발음한다. 물론 스타벅스 같은 곳에서는 아무 이름이나 대기도 했지만 말이다. 저자는 거기에 더해 미국에서도 '성을 앞에 써도 된다'는 생각을 심어줬다. 선입견이란 참 무서운데 이렇게 하나하나 바꿔나간다는 게 대단하다.


그 다음은 제목에도 들어간 '채식주의' 부분이다. 군대에서는 내년부터 채식주의자를 위한 '맞춤식단'이 제공된다고 한다. 사회가 많이 변화했다는 생각이 든다. 어렵더라도 때로는 타협도 해가며 채식주의를 알리는 저자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저자에게 많은 깨달음을 준 책 '동물해방'도 한 번 읽어봐야겠다.


외국에서 살면서 오히려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자신의 뿌리를 깨달아가는 과정과 자유로이 살아가고 있는 모습이 인상 깊은 책이다.

내가 ‘한국인 이성애자 남성‘이라는 정체성의 울타리 안에 갇혀 있다는 사실이 싫었다. 그 울타리를 확장하는 일은 결국 공감의 영역을 넓히는 것이었다 - P55

세계화가 ‘미국‘화가 아닌 ‘다문화‘화였으면 좋겠다 - P102

문화예술 매체란 본질적으로 간접경험이다. 그 경험의 강도에 따라 고정관념도 깨지기 마련이다 - P119

동물해방운동은 동물이 느끼는 고통의 총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지 비건의 도덕적 숭고함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 P1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