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에게 필요한 11가지 약 이야기
정승규 지음 / 반니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임약, 위장약, 당뇨약 등 이제는 너무나도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던 약도 이전에는 아주 큰 한 걸음이었다. 책에는 인류를 바꾸는 큰 공헌을 한 약 11가지에 관련된 전문적인 이야기부터 일화 등이 담겨있어 흥미를 자아낸다.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피임약 부분. 여행을 위해 종종 먹는데 '부작용'에 대한 얘기를 많이 들어서 불안했다. 외국에서는 신경 안 쓰는 것 같아서 신체상 차이 때문인가 싶었다. 그런데 부작용을 많이 극복했음에도 우리나라에서 대중화되지 못했다고 한다. 여성 스스로 권리를 위해, 필요해서 먹은 게 아니라 '산아 제한'을 위해 국가가 주도한 부분이어서 인식 자체가 다를 수 있다는 부분에 설득력이 있었다. 많은 약이 초반보다 더 나아졌다.


저자는 약학에서도 발전을 위해서는 의견을 자유로이 논할 수 있는 사회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다름을 인정하고, 연공서열에 따른 권력만이 있어서는 안 된다. 틀릴 것을 염려하지 않고, 윗사람 눈치를 보지 않고 당당하게 다양한 생각을 이야기하는 날이 오기는 할까?


책에는 시저가 대머리 콤플렉스가 있어서 월계관을 썼다거나 탈모약을 자르면서 나오는 가루를 여성이나 아이가 만지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 유전자 가위로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잘라낸 적이 있다는 사실 등 흥미로운 내용이 많았다. 다만 전문적인 부분도 많아서 다소 어려운 부분도 있다. 어렵게 풀어내지는 않았기 때문에 평소 약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문제 없이 읽을 수 있을 듯.

반박하고 반증할 자유를 통해 검증을 거쳐 살아남는 것이 진리에 가까울 수 있기 때문이다 - P150

질문을 던지고 답변하는 과정에서 다양하고 이질적인 생각이 섞여 창조적인 발전이 일어난다 - P151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일에서 창조력이 발휘되면 그것을 기초로 혁신이 일어난다 - P154

좋은 용도로 사용하면 명약이 되지만 나쁜 곳에 사용하면 이보다 악한 약은 없다. 약의 활용은 사람의 마음에 있다 - P1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