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 200주년 기념 풀컬러 일러스트 에디션 아르볼 N클래식
메리 셸리 지음, 데이비드 플런커트 그림, 강수정 옮김 / 아르볼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과 삶을 둘러싼 인간의 호기심은 끝이 없다. 생명이 없는 것에 생기를 불어넣고, 더 나아가 인간을 창조하고자 한다. 과학자의 광기는 '버림 받은 존재'를 만들어내게 된다.


책은 배의 선장 윌튼이 '진실한 우정'을 나누고자 하는 빅터 프랑켄슈타인을 만나고, 그에게 이야기를 듣는 것으로 시작한다. 휴식과 건강을 포기하면서까지 생명 없는 육체에 숨을 불어넣으려 했으나, 공포와 혐오만이 남았다. ‘괴물’을 두고 떠났다가 돌아오니 그는 어느새 사라졌고, 어느 날 막냇동생이 살해당한다. 그리고 그는 프랑켄슈타인 주변을 맴돌며 그를 괴롭힌다.


프랑켄슈타인보다는 그 ‘괴물’이 더 안타깝다. 외모가 흉측하다는 이유로 부모에게 버림 받고, 모든 사람에게 마음도 그러할 것이라는 선입견에 시달린다. 몰래 애정어린 시선으로 바라봤던 ‘오두막 집 사람들’도 그의 외모를 보는 순간 뛰쳐나가 버렸다. 주인에게 귀염받고자 강아지의 행동을 따라해 혼이 난 당나귀의 우화에 대한 그의 말처럼, 사랑받고자 했을 뿐인데.


물론 살인을 옹호할 수는 없다. 모두가 같은 환경에서 악한 행위를 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애정을 받아보지 않고 거절만을 당해왔다면 괴로움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는 건 당연하다. 그래서 의외로 프랑켄슈타인은 징징대는 것으로만 느껴지고, ‘괴물’의 고통이 더 잘 느껴졌다. 그저 자신과 함께 살아갈 여인만 만들어주면 조용히 살겠다고 했는데 프랑켄슈타인이 홀로 피해자인 것처럼, 괴로워하며 날뛰어서 그를 더욱 지옥 속으로 몰아넣은 것은 아닐까.


삽화와 함께 보니 더욱 생생하게 느껴지는 이야기다. 


“나 같은 사람은 보지 못했고, 들어본 적도 없었다. 그렇다면 나는 괴물, 인간들이라면 마땅히 도망치고 멀리해야 하는 지상의 오점인 걸까?”

하지만 지나친 슬픔을 드러내서 다른 사람을 더 불행하게 만들지 않는 것이 살아남은 자의 도리 아니겠니? 그건 너 자신에 대한 의무이기도 하다 - P115

아, 프랑켄슈타인, 다른 모든 사람에게는 공정하면서 왜 나만은, 그 누구보다 당신의 정의가, 심지어 당신의 자비와 애정이 절실한 나만은 짓밟으려는 건가 - P128

언어를 완전히 터득하면 흉측한 내 외모를 무시하게 만들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나의 흉측함을 인식하게 된 건 끊임없이 눈으로 확인되는 대조적인 외모 때문이었다 - P149

모든 인간들이 내게 죄를 저질렀건만 왜 나만이 죄인 취급을 받아야 하는가? - P3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