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의 위상학 한병철 라이브러리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김영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폭력’이란 무엇일까. 흔히 생각나는 건 육체적 폭력이다. 그 다음은 정신적 폭력. 저자는 그 모두를 포함해 폭력의 변화 과정에 대해 저술했다. ‘피로사회’에 전개된 사유에 깔린 폭력의 논리를 담았다고 한다.


과거에는 가시적인 형태에서 숨겨진 형태로 바뀌었다. 범인은 자신을 가리며, 폭력조차 숨긴다. 디지털 바이러스와 같이 노골적이기보다는 매개를 이용하며, 육체보다는 심리를 공격한다. 폭력은 점차 자기 자신을 향하고, 이 시대의 폭력은 내부화, 습관화, 심리화 돼 있다.

.

대응 방법도 변화했다. 원시 사회에서는 폭력에는 폭력으로 대응했지만, 이제는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형벌 시스템을 이용해 폭력을 예방하고자 하며, 이는 폭력이 늘어나는 걸 어느 정도 막아준다. 자본은 무한한 시간의 환상을 낳고, 죽음에 대항하는 수단으로 그려진다.


현대 과잉생산사회에서는 긍정성의 폭력이 나타난다. 이상적이지만 뭔가를 이루는 과정 혹은 그 결과에서 후유증이 나타난다. 우리 자신을 망가뜨리는 것조차 인지하지 못한다. 후유증이 오고 난 다음에야 그 사실을 어렴풋이 깨달을 수 있다. 폭력을 자유로 착각할 수 있다는 사실이 참 무섭다.


일단, 참 어려웠다. 이해가 되는 부분도, 되지 않는 부분도 있었다. 도전하면서 읽게 되는 기분이었다. 리뷰에 틀린 부분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여러 번 곱씹고, 또 진지하게 오랫동안 읽어야 할 듯하다.

성과주체는 궁극적으로 자기와 경쟁하며 자신을 뛰어넘으려고 시도한다. 이로써 치명적인 경주가 시작된다. 언젠가 실신할 때까지 자기 주위를 끝없이 맴도는 경주 - P77

진정 막강한 권력을 쥔 지배자는 폭력을 휘두르겠다는 협박이나 반복하면서 권력을 유지하지 않는다. 물론 폭력을 동원하여 억지로 권력을 획득할 수는 있겠지만, 폭력의 강제를 통해 얻어낸 권력은 견고하지 못하다 - P111

한 인간이 인터넷에 제공하는 데이터만 분석하더라도 그가 지금까지 자신에 대해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이 투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인터넷은 그 무엇도 잊어버리지 않고 그 무엇도 기억에서 밀어내지 않는다 - P1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