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에 대한 예의
권석천 지음 / 어크로스 / 2020년 6월
평점 :
기자라는 직업은 누가 아무도 그러한 권리 혹은 자격을 준 것도 아닌데 사회 어느 곳이나 스스럼없이 찾아가서 들려다볼 수 있다. (그렇다고 어떤 기레기처럼 밤늦게 여성 혼자 사는 집 현관에 그 역겨운 얼굴을 내밀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우리 사회가 이 기자들에게 불쑥 찾아와도 되도록 허락해 주는 이유는 바로 그들이 사회 약자편에서 약자의 목소릴 대변해 준다는 암묵적인 동의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오랜 기간 직업으로서의 기자가 그간 직,간접적인 경험을 토대로 이 사회를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를 생각할 만한 여러가지 화두를 독자들에게 던지고 있다.
그렇다. 이것이 바로 기자의 모습이고 앞에서 얘기했던 기자가 어느곳이든 찾아갈 수 있는 배려를 해주는 이유이다.
기자들 스스로를 흑화하여 기레기가 되기 보다는 사람에 대한 예의, 무엇보다 진실에 대한 예의를 지켜 스스로 기자가 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며 이 책을 읽어보기를 바라지만......그들은 절대 그러지 않을 것이라는 걸 잘 안다.
그들은 돈과 권력 그리고 사회적 성공만이 목마른 그런 인간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점때문에 내가 그들을 혐오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정말 그들을 혐오하는 이유는 그들 자신의 선택적 분노와 선택적 진실을 마치 사회 공통의 정의라는 것으로 포장해서 대중과 스스로를 기만하기 때문이다.
내가 경멸하는 이런 이유로 인해 기자들은 사람에 대한 예의는 없고, 오로지 돈과 권력에 대한 복종만 있지만 더 꼴불견인 것은 그것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내(조커)영화를 보고 어떤 관객이 인터넷에 남긴 ‘한 줄평‘, 기억나나? ˝착하게 사는 것은 높은 계단을 오르는 것과같지만, 포기하고 내려갈 때는 너무나도 빠르고 즐겁다.˝ 바로 그거네. 착하게 사는 것을 포기하는 것. 정말로 롤러코스터처럼 빠르고 즐겁게 내려갈 수 있지. P.24
그때 그 검사들은 기자들을 어떻게 여겼을까. 입 벌리고 먹이 달라고 졸라대는 병아리들을 연상하지 않았을까. 검사들과잘 지내는 것은 특종과 낙종이 매일 포탄처럼 터지는 전쟁터에서 살아남기 위한 제1 조건이었다. 살아남는다는 표현이 이상하다고? 회사에서 ˝일 못한다˝, ˝무능하다˝고 욕먹는 게죽기보다 싫었다. p.117
‘좋은 게 좋다‘는 좋은 것인 양 들린다. 착각은 금물이다. 좋다고 해서 모두가 좋은 건 아니다. ‘좋은 게 좋다‘는 규칙에는선택과 배제의 원칙이 적용된다. 정치권력-재벌권력 검찰권력-사법권력-언론권력의 펜타곤 안에서만 유통되는 가상화폐다. 서로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짬짜미다. 그 피혜는 고스란히 펜타곤 바깥에 있는 이들에게 전가될 수밖이 없다. 그들에게 좋은 게 좋은 것은 아니다. P.167
관료와 정치인, 언론인들이 시민들의 목소리를 외면했던 이유는 어떤 정부, 어떤 대통령이 좋아서가 아니었다. 자신들의생각이 그러했기 때문이다. 자신들의 이익에 맞았기 때문이다. 그들이 살아가는 방식이 바뀌지 않는 한 언제든 왕조의 망령은 되살아난다. 고백하건대, 그 범주 안에 내 얼굴도 보인다. 지금은 미담을 나눌 때가 아니다. P.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