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피고 진다. 피고 지는 일, 거기에 꽃의 매혹이 있다. 피었으니 지는 게 자연스러워 보이지만, 피기도 어렵고 지기도 어렵다. 어느 한쪽을 꼭 택하라면 피기보다 지기가 더 힘들지 싶다. 시인들은 꽃이 피고 지는 일을 자연 현상 차원으로 여기지 않았다. 꽃이 피고 지는 일을 마음 속 작용 여하에 따라 다르게 다가온다고 보았다.

꽃이 시인을 미혹시키는 건 시인의 내면 표현을 대행해주기에 더 없이 좋은 존재이기 때문이다. 만일 시인의 마음에 섭정을 하거나 대리청정 하는 단 하나 사물을 세우라고 한다면 많은 시인들이 꽃을 천거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동서고금의 시 가운데 피는 꽃의 절정과 지는 꽃의 비애를 기막힌 솜씨로 빚어낸 명편들이 숱하게 많다. 지는 꽃을 다룬 시 가운데 장석남 시인의 「길」(시집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 창비, 2001년 초판1쇄)을 나는 우선으로 꼽고 싶다. 2연 9행의 짧은 시에는 “부드럽고 연한 상상”(최하림)의 특징이 잘 내포되어 있다.

       

장석남의 시는 발묵이 잘 된 수묵화를 닮았다. 섬세하고 담백한 마음결이 시에 담겨 있어서 그럴 것이다. 그는 힘주어 강조하지 않는다. 감정의 고조와 시적 긴장도 잘 표출하지 않는다. 조용하고 편안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묘한 점은 부조화를 이룰 법한 시어들이 독특한 사유 방식으로 절묘하게 어우러져 시를 빚어낸다는 것이다. 독특한 발상과 표현이 시를 쓰는 한 사람으로서 나를 화들짝 놀라게 만들기도 하고, 그의 시를 사랑하게도 한다. 그의 시에는 일상어가 종종 등장한다. 특히 줄임말과 같은 입말은 친근성을 확보한다. 시인 자신만의 어조로 전개한 시를 읽다보면 내 심사까지 조용해지는 느낌을 받곤 한다. 그만의 독특한 어법이다.

  바위 위에 팥배나무의 하얀 꽃잎들이 앉아 있습니다
  바위 속이 훤히 들여다보입니다
                                     <장석남 詩 「길」, 1연>

시인은 바위 위에 떨어져 있는 팥배나무 흰 꽃잎을 바라본다. 5월에 피는 팥배나무 꽃은 배꽃을 닮았다. 희고 예쁘다. 첫사랑 같은 꽃이다. 반면 열매는 배가 아닌 팥을 닮아 팥배나무라고 한다. 그러한 팥배나무 꽃잎이 바위 위에 떨어져 있다. 시인은 “바위 위에 팥배나무의 하얀 꽃잎들이 앉아 있”다고 했다. 그 장면 하나만으로 “바위 속이 훤히 들여다보”인다고 했다. 설마 “하얀 꽃잎들”로 인해 “바위 속이 훤히 들여다보”일까마는 시인에게만은 사실이다. 왜? 꽃잎이 앉아 있기 때문이다.

바위가 그 꽃잎을 기다리고, 또 기다렸지 싶다. 그렇지 않다면야 꽃잎이 바위에 내려앉아 있는 동안 훤히 속을 보여줄 리 만무하다. 1연은 2연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한 가지 지닌 셈이다. 즉 “바위 위에 앉은” “팥배나무의 하얀 꽃잎들”에서 바위 속을 “훤히 들여다보”는 이는 시인이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팥배나무의 하얀 꽃잎들이” 바위 위에 앉아줌으로써 바위의 마음을 투명하게 한 것이다. 바위는 팥배나무 꽃을 흠모하였음이 분명하다.

조금만 더 확대해석을 해보자. “팥배나무의 하얀 꽃잎”을 “바위”가 사랑하는 이로 대입시켜 보자. “바위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이유를 더 잘 알 것 같다. 어쩌면 시인은 이 시에서 자신과 자신이 사랑하였던 이와의 추억을 얘기하는지도 모르겠다. 굳이 이처럼 확대해석하지 않더라도 바위 위에 앉아 있는 팥배나무 하얀 꽃잎들로 인해 바위 속이 훤히 들여다보인다는 표현은 기막히다.

  팥배나무와
  바위
  사이
  꽃잎들이 내려온
  길들을
  다 
  걸어보고 싶습니다
         <같은 詩, 2연>

지는 꽃이 지나온 짧은 궤적을 ‘길’이라고 표현한 시인은 장석남이 처음이지 싶다. 꽃이 지는 짧은 거리를 마치 먼먼 길처럼 말하는 그 속에는 참으로 많은 얘기가 담겨 있다. 이를 두고 최하림 시인은 시집 해설에서 “무목적의 꿈과 부재의 꿈의 그림자들”이라고 하였다. 꽃잎이 맺혔던 팥배나무 가지와 꽃잎이 져서 내려앉은 바위 사이를 걸어볼 수는 없는 일이다. 걸을 수 없는 길을 걷고자 하였으니 당연히 “부재의 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렇게 읽지 않았다. 충분히 가능한 일이지 싶다.

어떻게? 이 시에서의 ‘길’은 단지 “팥배나무와/ 바위/ 사이/ 꽃잎들이 내려온” 공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꽃잎이 내려오는 동안, 더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꽃이 피면서부터 시작하여 꽃잎이 바위 위에 내려앉기까지의 시간도 포함한다. 시공(時空)이 하나로 합치된 ‘길’인 것이다. 따라서 공간으로서의 길은 “다/ 걸어” 볼 수 없겠지만, 시간의 경과로 이루어진 추억 속을 걸어보는 일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시인은 팥배나무 하얀 꽃잎과 바위를 만남과 사랑으로 대체시킨다. 하얀 꽃잎이 바위에 닿았을 때를 사랑하는 이를 만나 이루어진 사랑으로 본 것이다. 사랑하는 이의 손길이, 마음이 몸에, 마음에 와 닿았을 때 몸 전체가, 생애 전체가 온통 환해지는 느낌. 사랑하는 사람들만이 느낄 수 있는 그런 느낌. 시인은 그 순간을 본 것이다. 그러하니 “하얀 꽃잎”이 피어난 순간부터(사랑하는 이를 본 순간부터) 그 꽃잎이 바위 위에 내려앉기까지(나에게 와서 서로 사랑하게 되기까지) 모두 다 오가며 기억을 더듬고 추억해보고 싶은 것 아닌가. “길들”이라고 복수로 말한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꽃잎 하나하나를 모든 만남과 사랑으로 보았고, 그 사랑들을 다 알아보고, 느껴보고 싶은 것이었다.

시 「길」은 이 시가 수록된 시집의 표제작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과 함께 읽으면 좋을 시다.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에서 “죽은 꽃나무를 뽑아낸 일뿐인데/ 그리고 꽃나무가 있던 자리를 바라본 일뿐인데”라고 하였지만, 그 꽃나무는 사랑하던 대상이고, 그가 자리했던 내 마음 자리에서 그를 뽑아낸 일이다. 그러니 뽑아낸 “꽃나무가 있던 자리”를 보는 것은 당연히 아픈 일이다. “인젠 꽃이름도 잘 생각나지 않은 殘像들”만 남았기에 “죽은 꽃나무”이고, 이를 “뽑아낸 일”은 당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꽃나무가 있던 자리를 바라본 일”은 통증을 유발한다. 그게 설사 “인제는 다시 안 올 길이었긴 하여도/ 그런 길이었긴 하여도” 말이다. 그러하니 어찌 “팥배나무와/ 바위/ 사이/ 꽃잎들이 내려온/ 길들을/ 다/ 걸어보고 싶”지 않겠는가. 설사 그것이 남녀 간의 사랑에 국한되는 게 아닐지라도, 또한 자신의 사랑이 아닐지라도 그것을 더듬어보는 것 자체가 “길들을/ 다/ 걸어보”는 일이 아니겠는가.

시는 고요하고 연하디 연한데, “팥배나무와/ 바위/ 사이/ 꽃잎들이 내려온/ 길들을/ 다 걸어보고 싶"다는 기막힌 표현 앞에 나는 화들짝 놀란다. 이것이 장석남 시가 지닌 매혹이지 싶다.

한 가지 더 짚고 가자. 2연의 “꽃잎들이 내려온” 구절은 1연의 “바위 위에 팥배나무의 하얀 꽃잎들이 앉아 있”다는 것과 자연스럽게 아귀가 맞는다. 바위는 다가가지 못하고 애타는 마음으로 여기서 기다길 수밖에 없었고, 그 마음을 알아 “꽃잎들이 내려온” 것이다. 시인의 사랑도 그랬나보다. 그녀가 시인에게 다가온 순간, 시인의 “속이 훤히 들여다보”일 정도로 환해졌나 보다.

1연은 바위 위에 꽃잎들이 앉아 있는 모양이다. 2연은 파격적으로 행을 바꿔줌으로써 꽃잎이 내려오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한 행 한 행을 끊어가며 천천히 읽으면 꽃잎이 나리는 모습이 더 잘 연상된다. 행 하나를 가르는데도 그것이 가져올 효과와 절제가 요구된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