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집탐독 - 우리 문장가들의 고전문집을 읽다
조운찬 지음 / 역사공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집탐독 - 우리 문장가들의 고전문집을 읽다>(조운찬, 역사공간, 2018)를 읽었다. 

문집은 시와 문장을 모은 문학작품집이다. 

옛날 동아시아에서는 서적을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사부(四部)로 분류했다. 경은 유교경전, 사는 역사서, 자는 유학 이외의 철학서나 과학서적 등을 말한다. 집은 문집의 줄임말로, 시, 산문, 편지, 소설 등과 같은 창작물을 총칭한다. 문집은 사부의 하나이지만, 위상은 그 이상이었다.(5-6p)

우리가 대충 아는 것처럼 옛 문헌에서 경전, 과학, 철학서 등의 비중은 적다. 역사서도 생각보다 많지 않다. 결국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책의 대부분은 문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지학자들은 우리 문헌의 70% 이상이 문집이라고 말할 정도이다.”(6p)


중고교 시절 역사 혹은 고전문학을 통하여 수많은 문집을 대하기는 했다. 물론 저자와 제목만을 외우는 수준이었지만,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이제현의 <익재집>, 박지원의 <연암집>, 김시습의 <매월당집>, 김정희의 <완당전집>, 정도전의 <삼봉집>, 황현의 <매천집> 등은 낯익은 이름이어서 반갑기까지 하다. 물론 그 면면의 속사정까지는 제대로 알지 못한다. 오랫동안 서예와 한문 가까이 있었지만 이러한 문집들을 제대로 읽어볼 기회를 갖지 못하였다.


익히 알고 있던 인물들의 생애가 문집의 글과 포개어질 때 글은 작가와 따로 있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글이 생겨나는 것은 한 개인의 경험과 재능에 기대지만 한 개인은 시대와 사회에 포함될 수밖에 없다. 글이 비극적이라면 그 비극은 한 개인의 비극이기도 하다. 또한 그 개인이 살았던 현실의 비극이기도 하다. 옛 문인이 남긴 글 가운데 찬사를 받는 것들은 뛰어난 문학적 가치를 지닌 것도 있지만, 시문(詩文)에 담긴 역사적 가치도 있다. 여러 이유 중에서 내가 중시하는 것은 글에 담긴 정신성이다. 사물과 현상의 본질을 보고, 그것을 드러내는 데 작가의 세계관과 인생관을 담아낸 글을 좋아한다. 그 세계관과 인생관은 깊은 통찰에서 나온 높은 가치를 지녀야 한다. 그러한 글은 분명 오래도록 세인의 마음속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인상 깊은 부분들이 많았다. 

홍대용 <담헌집>, 박제가 <정유각집>, 최립 <간이집>, 김상헌 <청음집>, 최명길 <지천집> 등을 다룬 부분에 오래 눈길이 머물렀다. 

권근의 <양촌집>은 한참 머물며 나를 돌아보기도 하였다.


사람이 살아가는 생애가 자신의 마음이나 가까운 주변의 변화나 영향으로 변하기도 하지만, 시대와 국가의 변화로 예기치 않은 상황을 맞기도 한다. 권력의 교체, 폐망과 개국 사이에 끼인 개인의 삶은 그러한 큰 변화 속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로 존망을 맞는다. 절의를 지키다 목숨을 내놓기도 하고, 개혁과 혁신에 스스로 앞장서기도 한다. 어느 것이 옳고, 어느 것이 그른지를 일도양단 잘라 말할 수는 없다. 경(經)은 근본이나 권(權)은 경을 활용하는 가변이다. 경을 어떻게 지키느냐가 다를 뿐이지 권의 활용만 놓고 옳고 그름을 판결할 수는 없다. 


권근은 변절과 어용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가 조선 개국 초기 조선 ‘최초의 문형’으로 관각체 문장을 틀을 마련하였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가 다져놓은 관각체는 조선 내내 그의 영향권 안에 놓여 있었다. 다만 그러한 그도 지울 수 없는 것이 변절의 문양이다. 그의 초기 이념은 성리학적 신념 속에서 비롯되었지만 앞을 내다보지 못한 한계를 지녔다. 변절의 과정은 이러한 현상 속에서 나타난 필연적인 결과였다고 생각한다. 

“조선 유학자들 사이에서는 권근이 문학과 학문을 발전시켰다는 공로를 들어 그를 공자의 문묘에 배향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그는 끝내 문묘에 들지 못했다.”(259p) 권근이 조선 초기의 문장가이자 경세사상가로 조선의 기틀 마련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역사적 평가는 ‘변절’의 이미지가 덧씌워져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문집탐독>에는 문집에서 골라낸 좋은 문장과 시를 수록해두어 책의 가치를 더해주었다. 

아쉬운 점도 없지는 않다. 인용된 문장과 시 중에 어떤 글은 원문을 병기하였고, 어떤 글은 원문 없이 해석문만 수록하였다. 인용된 글은 모두 원문도 같이 수록해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문집탐독>은 우리 옛 문집의 가치와 의미를 헤아려 흥미와 재미가 일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각 문집의 대략적 설명과 문집에 수록된 글을 통하여 저자의 상황과 연결시킨 설명에 국한되지만, 이 책을 읽다보면 각 문집을 찾아 읽고 싶은 마음이 생겨난다. 문집의 원전이나 번역본으로의 안내 혹은 유혹, 이 책의 역할이 바로 그것이 아닐까. 


뒷표지에 이런 안내 글이 있다. 

과거는 결국 오늘로 향하는 길이다. 옛 문장가들은 글을 통해 이 세계와 학문을 연구하고 새로운 생각들을 탄생시켰다. 또한 글로써 부조리한 세상에 저항하는가 하면, 격변기의 혼란 속에서도 자신만의 신념을 지켜왔다. 문집을 통해 그들이 어떻게 살고, 생각하고, 실천해왔는지를 엿보면서 현재 우리의 삶 또한 새롭게 읽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작업은 굉장히 매력적이다. 오늘날 우리가 문집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