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리 편지 창비아동문고 229
배유안 지음, 홍선주 그림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정리편지...... 이 글은 세종대왕이 살아 계시던 때의 이야기이다. 이 책에 나오는 주인공은 매일 돈을벌기 위해 나무를 패러 산을 다닌다. 그러던 어느날 이 아이는 세종대왕을 만나고 세종대왕이 한글을 가르쳐 준다. 이 아이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한글을 가르쳐 주었다. 하지만 이 아이는 세종대왕이 세종대왕인지 몰랐기 때문에 초정리편지에서는 토끼눈 할아버지라고 나온다. 이 아이는 산에서 할아버지와 매일 만날수 없으므로 땅에다 글을 남기거나 종이에 글을 남기곤 하였다. 그런데 어느날 갑작스레 할아버지가 나올 수 없게 됬다는 글과 함께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 세월은 지나고 임금님이 석수들이 돌을 잘 깎고 있는지 보러가게되었다. 석수들은 모두 고개를 숙이고 있었다. 그런데 그 땅에는 그 아이가 가르친 글이 땅에 적혀있었다. 세종대왕은 이 글을 쓴 사람이 누구냐고 물어보니 옛날 산에서 만났던 그 아이였다. 그 아이는 세중대왕보고 할아버지라고 불렀더니 그 옆에 있던 사람이 임금님이라고 부르라고 하였다. 하지만 세종대왕은 편하게 할아버지라고 불러달라고 하였다. (나는 이 부분에서 세종대왕이 얼마나 어질었는지 알 수 있었다.) 이후 이 석수들은 만들 것을 다 만들고 아이는 연꽃을 만들었다. 이 연꽃의 그림이 보여지면서 책이 끝난다.

나는 이 책을 읽고나서 세종대왕을 생각해 보았다. 세종대왕께서 새로운 글을 만들었지만 옆에 붙어 다니는 신하들이 새로운 글(한글)을 쓰는 것에 반대하였다. (신하들은 한자로 계속 쓸때에는 자신들이 글을 쓸줄알아 뛰어난줄 알았기 때문) 하지만 세종대왕께서는 백성들에게 몰래 한글을 가르쳐 주어 나중에는 다 같이 한글을 써 평등하게 된다. 이 부분에서도 세종대왕께서 얼마나 노력을 했는지 알 수 있었다. 배유안 작가의 초정리편지...... 우리에게 조선시대 세종대왕께서 살아계셨을때의 한글을 만들기까지의 과정 주인공의 삶을 잘 보여주는것 같아 좋았다. 나중에도 배유안 작가께서 이런 초정리편지와 비슷한 책이 나오면 꼭 읽어 볼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