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4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음, 우석균 옮김 / 민음사 / 2004년 7월
평점 :
칠레의 국민 시인 네루다.
한 나라의 국민 및 전 세계의 사람들에게 사랑과 존경을 받았던 거대한 문인이다.
그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또 하나의 출중한 작가가 그가 등장하는 소설을 썼고,
영화로도 만들어져 많은 사랑을 받았던 작품이 바로 이 작품이다.
영화는 우리 나라에도 소개되었던 "일 포스티노"
라틴 문학을 너무나도 사랑하는 나로서는 꼭 읽어야 했던 작품이지만
정말로 고이 아껴두었다가 책이 잘 안 읽힐 때 즐겁게 읽어야 싶어 놓아두었던 책.
드디어 때가 왔다.
힘들고 글자가 눈에 안 들어오고 뭔가 즐거워지고 싶었던 어느 날 저녁,
손에 들고 읽기 시작해 바로 끝까지 읽어 버렸다.
라틴 아메리카 답게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누구나 비현실적일 정도로 개성이 강하다.
낙천적이든, 규칙을 가지고 있든, 열정적인 사랑을 하든
대강하는 법이 없이 화끈하게 모든 일을 한다.
내가 알기로 네루다 역시 그런 열정으로 글을 썼고, 사랑을 했고, 투쟁을 했다.
그러한 열정으로 삶을 즐기고자 하는 이들 사이에
칠레의 어두운 정치적 현실이 드러나고,
네루다와 우편 배달부 사이의 대화에서 '메타포'를 통한 삶에 대한 성찰이 나타난다.
비현실적일 것 같은 에피소드들 속에서 대부분의 사건은 웃게 만들지만
마치 삐에로의 웃음과 같이 그 웃음은 단지 웃음이 아닌, 삶이 실려 있는 웃음인 것이다.
그렇기에 우편 배달부와 위대한 시인의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우정은,
진정한 우정이 될 수 있었다.
나 역시,
나를 사랑하고, 내 삶을 사랑하고, 내 가족을 사랑하고, 내 친구를 사랑하고,
그 사랑을 열정적으로 표현하는 삶을 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내가 남미 문학에 빠져 있는 건
우울한 정치적 현실과 뒤끓는 폭력과 가난이 버무려진 삶에서도
흥겨운 민속 음악에 맞춰 언제나 춤을 추고 웃고 즐길 줄 알며
배우지 못했어도 삶에 대해 나름대로 언제나 진지한 그들의 문화에 빠져 들어서 인지도 모르겠다.
기대했던 딱 그대로의 책.
즐거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