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의 집을 찾아서 한젬마의 한반도 미술 창고 뒤지기 2
한젬마 지음 / 샘터사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그림 읽어 주는 여자’ 한젬마가 손수 발품을 팔며 우리 땅 이곳 저곳으로 옮기는 발길을 읽어 가면 이 땅에서 불꽃같은 예술혼을 불태웠던 이 땅의 화가들을 만나게 된다. 서양화를 전공한 한젬마. 그녀가 오히려 더 우리다운 그림을 그린 화가를 찾아 나선 기록이기에 다소 의아해 할 수도 있다. 정작 자신의 얼굴을 직접 보지 못하는 우리들은 거울에 비친 모습만 바라보기 마련이다. 서양화를 전공했기에 오히려 우리 미술을 더 들여다 보고 싶은 욕망이 생겼을지도 모를 일이다. ‘한국 미술사가 ‘학문’으로 치부되는 반면 서양 미술사는 ‘교양’으로 인식되는’ 우리 현실에서 우리 화가들은 대중들과 호흡하지 못한 채 살아왔다. 교양이 아닌 학문이기에 특별히 관심을 두지 않는 사람이라면 범접할 수 없었다. 아니 이보다 서양 미술보다 우리 미술을 천시하는 경향도 없지 않아 있었을 것이다. 우리의 정체성과 주체 의식을 다져 가는 토대를 마련한다는 의미에서 한젬마는 한반도를 뒤지며 화가의 생이 묻어난 집을 찾아 나섰다.

 

    집. 나고 자란 곳. 관계를 배우기 시작하며 성장하는 곳. 우린 집을 떠날 때보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서 맘이 편안해 진다. 화가들 역시 그들을 길러낸 고향집, 그들이 자란 집, 그들이 성장했던 집 속에서 자신의 생각을 펼칠 그림을 구상했으리라.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작음의 미학을 몸소 실천하고 이 세상을 떠나 영원한 휴식에 이르러서까지 작은 탑비 속에 묻힌 장욱진 화가의 집. 그림 속 집들도 역시 소박하게 살고자 한 장욱진 화가의 생각이 은은하게 배어 있다.

    화가 박생광을 찾아 나선 저자의 발걸음이 진주에 머물렀을 때 우리 핏 속에 면면히 흐르는 민족 의식이 묻어난 그림들을 만날 수 있다. 저자가 ‘얼룩 채색법’이라 말하는 박생광 화백의 그림에서 강렬하면서도 열정이 넘치는 그림 속에 맵짠 한국인의 정서를 새삼 다시 느낄 수 있다. 맺힌 한을 풀어 주는 무당처럼 박생광 화백은 얼룩덜룩한 붓자국으로 설움과 한을 풀어낸다.

  자신의 장애를 극복하고 그림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에게 고통을 덜어 주고자 했던, 빨간 양말과 흰 고무신의 화가 운보 김기창. 시대의 질곡 속에서도 인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버리지 않고 인간에 대한 탐구를 그림에 담았던 화가 이응노. 수선스런 세상살이에서 단순함을 건져 올린, 저자의 오만함을 고개 숙이게 했던, 한국적 유화를 그렸던 화가 박수근 등 충청도, 경상도, 강원도가 낳고 길렀던 화가들의 삶을 되밟아 나가면서 나직한 목소리로 교양으로서 우리 미술을 느끼고 즐길 수 있도록 해 준다.

  ‘인간의 실존과 작품이 결코 유리될 수 없다’는 저자의 말처럼 이 땅에 터 잡고 살아갔던 화가들의 생이 오롯이 그림 곳곳에 묻어나고 있었다.

 

  돈의 논리로 예술가가 나고 자란 집이 잊혀지고 사라지는 현실에서 쉼없이 한국인의 가슴에 맺힌 응어리를 풀어주고 보듬어 주려했던 이 땅의 화가들에게 머리 숙여 감사의 예(禮)라도 표해야 하지 않을까. 화가를 환쟁이라고 천시하는 편견이 아직 남아 있는 이 땅. 그렇지만 피카소나 로댕 등 서양 예술가가 위대하다고 남들이 말하니 자신도 그저 앵무새처럼 되뇌이는 이 땅. 우리의 정서가 흠뻑 적셔있는 우리 화가에게는 무관심한 이 땅. 밖만 바라보지 말고 안을 바라봐야 할 때다. 한국 미술이 학문이 아닌 교양이 되는 그 날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