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 비타 악티바 : 개념사 1
최현 지음 / 책세상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의 역사에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은 인간으로서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고 싶어 한다. 이러한 바람은 인권이라는 개념 속에 녹아들어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기도 하고 제도로서 실천하는 힘을 발휘했다. 결국 인류의 역사는 인권에 대한 생각과 그 실현을 위한 노력의 역사로 규정지을 수 있다.  

그런데 우리 일상에서 정작 인권에 대한 얘기를 언급하면 골치 아픈,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없는 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이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그 억울함이 이 사회가 만들어낸 반인권적 제도나 의식에서 비롯되었을 때 강력하게 저항하고 비판할 뿐이다. 최근 용산참사나 존엄사 법원 판결 등 우리 일상 곳곳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은 인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간은 사람답게 살 권리를 지닌다는 인권의 개념은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관념적이기에 그 개념 자체만을 이해하면 일상과 동떨어진 것으로 이해하기 쉽다.  

이 책은 인권의 개념을 간략히 정의하고 인권이 시민권의 발전과 함께 발전하는 과정을 짚어본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역사 흐름 속에서 인권 개념의 내포와 외연이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 인권의 제도적 실천으로서 시민권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인권 의식과 실천이 ‘특수주의 시민권’에서 ‘보편주의 시민권’으로 확대하는 역사적 흐름이다. 고대에서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면서 인권의 주체와 대상이 되는 범위가 점차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역사 인식이 적절한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저자는 주로 서양의 역사를 바탕으로 인권의 개념과 발전을 설명하고 있다. 우리 역사를 살펴보면 조선 시대에 장애인에 대한 권리가 현대보다는 더 제도적으로 확보된 사례도 있다. 넓은 틀에서 본다면 우여곡절 끝에 인권을 누리는 대상의 폭이 확대된 것은 사실이지만 역사가 흐르면서 인권이 선형적으로 진보해 왔다는 인식은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책에서 지구 공동체와 지구적 시민권에 대한 설명은 인권 관련 교양서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최근의 논의다. 지구화와 세계화 추세 속에서 국경과 국적을 넘나들면 생활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EU와 같은 거대 공동체가 탄생하고 지구촌에서 지역별로 교류가 빈번한 만큼 지구적 시민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도 제조업 분야에서 이주 노동자의 노동력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국제 결혼으로 다문화 가정이 늘어가고 있다. 그런 만큼 세계를 무대로 다양하게 활동할 미래 세대에게 학교에서도 가르쳐야 할 인권 의식이다.  

인권은 결코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지적 유희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 일상 곳곳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인권과 무관한 일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권의 사각 지대에 힘들게 살아가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이해와 배려, 그들을 위한 실천적 제도를 확립하는 일은 우리 사회가 짊어진 시대 과제이다. 가정에서도 학교에서도 시민으로서 인권 의식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원마다 적극적으로 배우고 익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개념사 총서’ 기획에 충실한 책으로 평가될 수 있다. 단지 동양, 특히 동아시아의 역사에서 인권의 개념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피지 못한 부분이 아쉬운 점으로 남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