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원 니시키 씨의 행방
이케이도 준 지음, 민경욱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모처럼 눈물나는 책을 읽었다.

추리소설을 읽을 때면 아주 가끔 나는 책의 뒷부분부터 읽고 싶은 충동에 휩싸일 때가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전혀 그런 충동이 들지 않을 정도로 나는 범인이 누군지에 별로 관심이 생기지 않고, 오히려 작가가 묘사한 직장인의 비애에 오히려 더 많은 많은 공감을 하며 그쪽으로 감정이입을 하며 읽어내려갔다.

 

사실 지금 생각하면, 직장중에서 은행만큼 추리소설의 배경이 되기 좋은 곳도 없을것 같은데...이제껏 이 소설을 제외하고는 그런 책을 읽어본 적이 없다.

어느날, 도쿄제일은행의 한 지점에서 100만엔의 현금분실 사건이 일어나고, 돈을 묶었던 띠지는 한 여직원의 가방안에서 발견된다.

그 여직원을 감싸주던 선배 니시키는 각 직원들의 지문을 채취해 띠지에 묻은 지문과 비교하는 작업을 하게 되고...지문의 주인과 돈의 출처를 파악했던 니시키씨는 행방불명이 된다는 게 이 사건의 큰 축이다.

 

그러나 이 사건은 한 지점내 다른 직원들의 교차시선으로 서술되고, 나는 그들의 이야기에서 고단한 직장인의 비애를 느끼며 우울했고, 눈물이 났다.

과다한 업무와 실적에 쫓기고, 상사에게 깨지고, 더 운 나쁘면 자기와 맞지 않는 상사와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며 속으로는 저 인간을 칼로 찌르는 상상을 수백만번도 더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냥 참을 수 밖에 없는 도리가 없는 상황...게다가 집으로 돌아가서는 사랑하는 가족들에게 자신의 비참함을  내색하지 않으려 하는 사이 더 스트레스를 받는 우리들의 모습...

아니 우리까지는 모르더라도 나의 모습이 확실히 오버랩되긴 했다.

 

내가 확실히 끌린건 이런 이야기 때문이다.

왜...과부 사정은 홀아비가 안다고 터놓고 회사일과 직장상사를 씹어댈 수 있는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친한 친구를 만난 기분이랄까?

 

은행안에서 일어나는 일들도 정확하게 잘 묘사됐지만 그 안에서 몇가지 납득할 수 없었던 점은...

 

첫째, 검사부의 구로다가 과거에 경마자금을 위해 ATM기의 돈을 훔치는 부분은...ATM 담당자에게 누가 찾으니 자기가 대신 돈을 채우겠다고 했을때...담당자가 대직자도 아닌 직원에게 과연 선뜻 그 돈을 맡기고 나갈 수 있었을까?

  

둘째, 은행의 모든 키와 마찬가지로 자동화 기계로 들어가는 출입문의 열쇠 역시 퇴근 시간에는 금고에 보관함이 원칙이다.

또한 현금을 보관하는 금고의 키는 출납이 보관을 하고, 금고의 출입문은 신용과장이 보관하는 이중 보안체계를 갖고 있다.

(즉, 이는 한사람만의 의지로 사고를 칠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 출납은 신용과장이 와서 무장해제를 해줘야지만 금고에 들어갈 수 있고, 신용과장 역시 출입문을 열고 금고의 다이얼을 돌려서 잠금잠치를 해제할 수 있을 정도의 권한만 갖고 있을 뿐 금고의 열쇠는 출납직원이 보관하여 열고 닫음을 원칙으로 한다.) 

그런데 경마에서 이긴 구로다가 월요일 오전에 ATM기에 훔친 돈을 메꾸기 위해 담당자도 아니면서 아침 일찍 다른 사람들이 출근하기 전에 들어갈 수 있었다는건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셋째, 소설 속 도쿄제일은행에서는 띠지에 묶여있는 돈다발을 바로 갖고 들어가서 일일이 띠지를 풀러가며 캐시박스에 돈을 채워넣는다.

그러나 자동화기계로 들어가기 전에 자동화기기 담당자는 지폐 계수를 더하는게 원칙 아닐까?

은행에는 각 텔러들이 넘긴 돈이 존재하고, 그 돈을 자동화기기에 넣기 전 지폐사이에 다른 권종이 섞여들었나를 확인하기 위해 지폐를 한번 훑은 후, 돈을 한 번 더 세어보는게 정석이다.

이는 자동화기기를 통해 돈을 인출한 고객들에게 지폐사이에 다른 권종 지폐(예를들어 우리나라에서라면 십만원을 인출시 혹여라도 다른권종 지폐가 섞여 만원권 아홉장과 천원권 한장이 나오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가 섞여있음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돈을 채워넣기 전 텔러들이 넘긴 돈다발이 정확하게 백장이었는지를 미리 확인해둬야 혹시라도 자동화기기에서 시재부족금이 발생할 경우, 책임의 소재가 분명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작가가 이 책을 언제 썼는지는 모르지만 지금은 이 책의 소재자체를 부정할만한 가장 큰 안전판이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CC TV.

하지만 지금의 이 CC TV는 강도 등의 만약의 사고를 대비한 안전판이라기보다는 어쩌면 행원들의 감시기제로 작동하고 있는 듯해서 약간 씁쓸하기도 하다.

그러나 나는 이 책이 씨씨티비가 나오기 전에 구상되어졌다고 믿고 싶다. 이렇게 모든걸 부정해버리기에는 이 책이 너무 소중하니까.

 

한가지 아쉬웠던 점은, 스트레스 받는 다양한 행태 중에 고객들과의 관계 부분도 넣어줬으면 더 좋았을걸 하는 생각을 하며 작가의 다음 작품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