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중이 사라진 시대의 문학 - 1987년 이후 문학 20년, 종언인가 진화인가? ㅣ 아우또노미아총서 13
조정환.정남영 외 지음 / 갈무리 / 2004년 6월
평점 :
고진의 근대문학의 종언은 "'문학으로 사회를 움직일 수 있는 것처럼 보이던 시대, 문학이 윤리적 지적인 과제를 짊어지기 때문에 영향력을 갖는 시대는 기본적으로 끝났다'고 단언하게 된다. 고진은 "이러한 상황의 원인을 네이션-스테이트가 세계각지에 이미 확립된 것에서 찾는다. 즉 문학이 더 이상 네이션으로서의 동일성을 상상적으로 만들어낼 필요가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진이 긍정하는 것은 "근대문학의 불가능성을 확인하면서 문학에 대한 절망과 절필로 나아가는 흐름이다."(93쪽)
민중이 사라진 시대의 저자들은 이 지점에서 문제를 제기하면서 시작한다. 저자는(조정환)은 무엇이 근대문학의 종언을 가져오고 있는지, 그것이 문학자체의 종언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는것인지등의 물음을 탐구하기 위하여 사회의 재구성, 계급재구성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해나간다. 결론적으로 그것은 '민중의 소멸과 다중의 출현'이다.
그래서 저자(조정환)은 [1987년 이전 문학과 능동적 민중],[민중이 사라지는 징후들:1987~1997],[다중의 출현과 문학의 진화:1997~2007]으로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면서 계급 재구성의 변화와 이에 상응하여 출현했던 문학의 역할과 위치를 조망한다. 그리고 현재의 사회의 주체성을 다중의 출현으로 보면서, 삶-정치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삶-문학론을 [문제와 전망]으로서 제시한다. 즉 저자의 결론은 근대문학의 종언은 문학자체의 종언이 아니라 오히려 삶-정치와 삶-문학으로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읽어야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외에도 정남영의 <비평이란 무엇인가>라는 글도 읽어봐야 될 것 같다. 그리고 6개의 비평글들, 그리고 마지막에 있는 조정환의 <민중이 사라진 시대의 문학>을 읽어봐야 될 듯하다. 1부의 좌담 <근대문학의 종언과 종언 이후의 문학>은 [문학은 더이상 불가능한가],[새로운 가능성의 징후들-상상력,서정, 감각, 익살], [카이로스 비평의 시간]의 순서로 좌담을 진행하고 있다. 산만하지 않게 자신의 문제의식들이 각각 좌담을 통해서 흘러나오고 있는 것 같고, 실제 이야기에 참여하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아쉬운 것은 몇 개의 철학적 개념들, 가령. 잠재성(virtuality)와 초험적 장(transcendental field)과 같은 내용에 익숙하지 않다면, 좀 어려울 수도 있겠다. 이러한 개념들에 대한 설명이 주석에서 처리되었다면, 독자가 좀 더 사고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자극과 동기부여가 될 수 있었을 텐데, 그에 대한 설명이 없어서 좀 아쉬운감이 든다. 좌담에 참여한 저자들에게는 이러한 공통적인 논의기반이 있겠지만서도, 호기심과 막 떠오르는 문제의식으로 책을 집어든 독자에게는 저자들과 같은 논의의 공통기반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한 좌담이라는 형식에 그러한 개념에 대한 설명을 요구한다는 것도 무리일테다. 관심있는 독자라면, 동기부여로 삼고 이에 대한 내용을 스스로 찾아가는 것도 재미있을 듯 싶다. 어쨋든 좌담에서는 각각의 주제에 대한 논의와 함께 2부에서 읽게 될 각각의 비평글에 대한 소개및 핵심을 전달하기도 해서 2부에 있는 5개의 비평글에 대한 내용을 좀 더 잘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그래서 처음부터 읽어도 상관없겠지만, 2부를 먼저 읽고 1부를 읽어도 좋을 듯싶다.
읽어가는 중에 문제의식으로 드는 것은, 내가 문학에 문외한이라서 그런지 "문학이란 무엇일까"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전공자들에게는 상투적일 수 있어도 나에게는 참신한 것일테다. 나아가 '삶-문학은 여타의 철학이나 정치학, 사회학과 어떠한 차별지점을 갖을 수 있는지, 다중의 출현이라는 시대의 삶-문학이 가질 수 있는 독특한 역할이 무엇인지'하는 문제의식을 갖게되었으며, 책에서는 좌담에서의 삶-문학의 가능성과 이에 비추어본 비평글들이 실려있는데, 그렇다면, 삶-문학에서 독자의 역할과 위치는 어떻게 되는 것인지, 또 트렌드 문학으로 빠지지 않기 위해서 삶-문학의 활동으로서 어떠한 구체적 양태가 있을 수 있는지 하는 문제의식이 들었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나는 문학을 역시 계몽의 역할로 이해하고 있는 것인가?)
자극과 궁금증을 가져다 주는 책이 좋은 책이라 했던가? 그렇다면, 이 책은 나에게 '문학이란 무엇일까?', "삶-문학은 무엇일까?'하는 문제의식을 심어준 것에 대하여 고마움을 받아야 될런지 모르겠다.
아마도 삶-문학의 가능성, 그것은 이 책 자체에 있는지도 모르겠다. 좌담 진행을 위한 저자들의 모임과 논의들, 그리고 각 비평에 대한 논의들, 그러한 활동들이, 저자들의 삶에서 나온 삶-문학이라고 볼 수는 있지 않을까?
아직 조정환의 <카이로스의 문학>을 사놓고 읽지는 못했지만, 꼭 읽어봐야 겠다. (과연 그럴 수 있을지는 의문이지만) 그리고 책에 나왔던 여러 저자들, 여러 소설들, 특히 박민규의 소설들을(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