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아는 남자 ㅣ 진구 시리즈 2
도진기 지음 / 시공사 / 2012년 5월
평점 :
이 소설이 한국형 추리소설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1)시공간·문화적으로는 현대 서울을 배경으로 하고, 2)현재 대한민국의 법을 집행하는 판사가 전문적인 법적 지식을 뒷받침하여 썼기 때문이리라. (추리소설을 쓰는 판사는 일본에도 없다고 한다.)
주인공인 진구라는 인물도 주변에서 한 명 있을 법한, 머리 좋은 백수 친구다. 딱히 정의감이 투철한 부류도 아니고 비루한 처지의 자신을 위해서만 스스로의 재능을 투입하는 개인주의적인 인물. 여기 등장하는 사건에서도 마찬가지다. 누구의 도움도 기대할 수 없는, 소위 빽없고 돈도 없고 가진 건 머리 밖에 없는 우리의 주인공은 자신의 합리적 이성을 총동원해서 용의선상의 올가미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경찰은 쟝발쟝을 쫒는 자베르 경감처럼 집요하게 진구를 노리며 공권력으로 한 걸음, 한 걸음 목을 죄어온다. 요즘 대중매체에서 유행하는 포맷에 빗대보자면, 이 소설은 마치 개인과 공권력 사이의 한국 사법 서바이벌 프로그램 같다.
현대를 살아가는 입장에서 이성을 제대로 발휘하면서 살기보다는 어리석음과 욕망에 눈이 어두워 사리분별을 제대로 못할 때가 많다. 이런 소설을 많이 읽어서 잠시나마 경각심을 갖고 주변 사물이나 현상을 한 번쯤 음미하며 사고할 수 있으면 좋겠다. 덧붙여 진구가 활약하는 다른 사건들도 많이 지켜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