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겸손한 목격자들 : 철새·경락·자폐증·성형의 현장에 연루되다 Editorial Science : 모두를 위한 과학 4
김연화 외 지음 / 에디토리얼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학 분야의 낯섦과 대중서의 성격을 감안해야겠으나, 메시지와 기술지를 촘촘히 엮어내기보다 메시지를 의욕적으로 앞세운 듯한 만듦새가 아쉽다. 연구자의 성찰성을 의식한 자기진술과 몸의 경험에 대한 반복적 강조는 다소 강박적으로 느껴진다. 임소연의 성형 수술을 보는 관점, 라투르를 인용한 '과학기술의 블랙박스화' 문제제기는 인상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이론입문 창비신서 74
테리 이글턴 지음, 김명환, 장남수, 정남영 옮김 / 창비 / 198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중의 많은 문학이론서가 최신 경향의 반영과 중립적 스탠스를 표방하며 구매욕을 자극하고 있으나, 로이스 타이슨의 실전적 지침서인 『비평이론의 모든 것』을 제외하면 이글턴의 책만큼 친절한 입문서는 찾기 어렵다. 명료한 쟁점, 일관된 평가 기준, 위악적이고 신랄한 문체로 방대한 이론사를 장악하는 본편과 더불어 저자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수용케 하는 역자 해설까지 알찬 구성의 책이다. 인문학 지식이 전무한 독자에겐 다소 어렵겠지만, 문학을 진지하게 탐구하려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거쳐 갈 법한 현재적 고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픔이여 안녕 클래식 라이브러리 1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김남주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 달 전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통과의례처럼 읽으며 나는 내가 이 책에 대한 세간의 열광에 결코 동의할 수 없는 종류의 사람임을 알았다. 『데미안』은 물론 유년기 상실의 아픔과 자아의 새로운 일면을 발견하고 가치 체계의 혼란을 마주하는 청소년기의 경험을 잘 그려낸 소설이다. 그러나 올바른 주체로 우뚝 서는 일, 오직 단단한 내면을 갖는 일을 완수하기 위하여 방황이란 준비되어 있는 것일까? 말하자면 내게 이 소설은 너무 강박적으로 느껴졌던 것이다. 『슬픔이여 안녕』은 성장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이것은 알을 깨고 나오는 대신 무너져 내리는 세계의 파편에 상처 입는 새의 이야기이고, 성숙의 기회가 퇴행의 욕구에 잠식되다 끝내 굴복하고 마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이며, 시간이 흘러도 극복될 수 없는 아픔에 대한, 그런데도 그런 대로 살아지는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어떤 의미에서 '성장'이라 불리는 사건의 실체를 이 이야기에야말로 예리하게 포착하고 건져내는 힘이 있다. 성장은 반드시 슬픔을 딛고 일어나 다음 단계로 올라감을 통해서가 아니라, 그저 내 안의 존재를 알아차리고 그것에 인사를 건넴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우리에겐 모든 고통과 단절해야 할 필요도, 그럴 능력도 없다. 용기가 두려움에 파훼당한 폐허 위에서도 우리는 어떻게든 살 수 있다. 사강은 그걸 아프게 인정하는 것이다. 사랑받고 싶어서 미워하는 것은 애정에 대한 갈구를 저버리지 못하는 모든 인간의 콤플렉스다. 그런데 사랑을 포기할 수 없다면, 우리가 이 아픔을 묵묵히 통과하는 것 말고 대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성장이란 미명 하에 과거에 갇히지 말라고, 알을 깨고 나오라고 많은 작가와 강사들이 소리치지만, 나는 삶이 결코 그런 식으로만 작동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부정할 수 없다면 명명하는 것이 낫다. 나로 산다는 것은, 나만의 용법으로 세계의 존재들을 호명해 나가는 과정까지 포괄하는 일이므로.


나를 줄곧 떠나지 않는 갑갑함과 아릿함, 이 낯선 감정에 나는 망설이다가 슬픔이라는 아름답고도 묵직한 이름을 붙인다. - P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