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휘소 평전 - 한국이 낳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강주상 지음 / 럭스미디어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1992년 감수성이 예민하던 중학생 시절 소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읽었다.
그 이후 영화로도 관람하였고 이휘소라는 이름만 들으면 웬지 모를 아련함과 서글픔이 가슴을 눌려왔다.
약소국에 태어나 보다 큰 공부를 위하여 도미한 이휘소 박사, 천재 과학자로써 세계 최고 선진국 미국에서 대한민국의 위대함을 알리고 우리 국민에게 한 줄기 빛이요, 희망이 되었던 이 박사, 조국과 민족의 서러움을 외면할 수 없어 일신의 안위를 버리고 박정희 대통령을 도와 자주국방의 완성이라 생각되어진 핵무기 개발에 목숨을 바친 진정한 애국 과학자...
이것이 내가 알던 이휘소 박사였다.
그런데 오늘 이휘소 교수의 직계제자인 고려대학교 강주상 교수님의 평전을 읽으니 이것은 모두 허구요, 창작이었다. 강주상 교수의 주장이 틀렸다고 하기엔 너무나 정확한 자료와 이 박사의 가족들이 취한 행동및 이박사와 강교수의 관계는 철옹성과 같다. 이휘소 박사는 도미 후 한국인이 아닌 미국인이 되어 갔다. 결혼에 홀어머니의 승낙을 바라는 편지가 아닌 통고의 편지가 갔었고 일부러 찾아온 대학동기에게 "HI"라고 인사하며 집으로 들어오게 하지도 않았다. 처음만난 사제지간으로 미국에서 처음만난 강교수와는 영어로 시작해 영어로 대화를 끝맺었으며 조규석이라는 학생에게 학위지도를 하다 너무 힘이 들어 한국학생을 배제하는 마음까지 가졌고 이 박사의 아내와 자제들은 한국말을 전혀 몰랐으며 된장찌개 조차도 결혼 후 한참이 지난 후 한국 유학생에게 방법을 배워 조리했으며 기어코 한국국적마저 버렸으니 그는 겉은 가난한 한민족이나 속은 위대한 미국인이었다.
예전에 신문에서 이런 글을 읽었다. "1950-60년대에는 국내의 최고 실력파를 국비로 유학보냈다. 특히 이공계 분야에 많이 보냈는데 그것은 내일의 조국발전을 위한 초석이었다. 그 시대에는 비행기를 탄다는것이 영광이었고 미국에 간다는 것은 지금의 우주여행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허나 실제로 귀국하여 조국에 봉사한 이들은 10%가 되지 않는다. 가난한 조국의 배려와 눈물을 잊고 그들은 보다 나은 연구환경과 조건을 들어 조국을 배신한 것이었다." 결국 이휘소 박사도 위의 90%의 인물이 아닌가? 일신의 안위와 연구를 위해 가난한 조국을 열악한 연구환경이라는 이유로 저버린것이 아니냐 말이다.
미국 시민권자니 한국인도 아니요, 미국인이다. 우리는 한민족이기에 그를 한국인으로 보지만 미국인이 영국 국적을 취득하여 사망했다면 우리는 그를 미국인이라 보겠는가?
나는 이 책에서 과연 그는 천재였다는 사실을 다시한번 확실히 알 수 있었다. 허나 그는 우리의 가슴속에 살아있던 성웅, 진정한 애국자, 영원히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大韓의 과학자는 아니었다.
이것이 진실이니 그 동안 소설에 의해 잘못된 사실을 안고 살아온 15년의 세월이 실로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