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슴벌레 여자 - 윤대녕 장편소설
윤대녕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1년 4월
평점 :
품절


YOU가 이 책을 좋아한다고 했을 때,

다시 <사슴벌레 여자>를 읽고 있다고 말 할때

궁금하기도 했지만 무엇에 이끌린 것일까 하며 알고 싶었다.

소설 속에 묘사된, 서하숙이라는 인물에 YOU가 매력을 느낀거 같았다.

서하숙과 YOU 는 어떤 점이 닮았고

YOU은 서하숙의 어떤 점을 동경하고 있는 걸까?


광화문 광장의 모습을 하기 전, 2001년 1월의 광화문 풍경

그러니까, 스물 여덟

영화사에 다니면서 즐겁고 행복한 시기를 보내던

그 때의 나를 더듬어 보았다. 



우리들의 기억은 한갓 낡은 실처럼 쉽게 끊어져버리는 것인지도 모른다.

또한 낯선 골목 모퉁이를 막 돌아 나올 때,

술에 취해 심야 버스에서 혼자 잠들어 있을 때,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난데없이 이별의 말을 듣게 되는 순간에도

어쩌면 그렇지 않을까.

 

솔직히, 알코올에 취해 기억 못하는 순간들을 다 모으면

한 달 정도의 기간이 나올거 같다.

그 순간들의 내 모습, 행동, 말

다 내안의 또다른 '나' 거나 무의식 속의 '나' 겠지만

내가 모르는 '나' 의 모습은 낫설고 두렵다.

 
기억과 추억에 전착한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곤 한다.

그런 나에게, 갑자기 기억이 다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

기억이 없다면 뭘로 살아갈 수 있을까?

그보다 더 무서운 건, <천일의 약속> 의 이서연(수애)처럼

치매(알츠하이머)에 걸려 기억을 하나씩 잃어가다가 죽는 거 같다.

그리고 보면 기억과 감정

이 또한 불가분의 관계일텐데

아, 생각할수록 모르겠고 두려움만 다가온다.

 
나 자신도 기억을 되찾기 위해 무척 애를 썼다고 생각한다. 일 주

일에 두 번씩 꼬박꼬박 통원 치료를 받았으며 방에 있는 책과 음반들을

반복해서 읽고 들으며 어느 순간 돌연적으로 찾아올지 모를 기억의 실

마리를 붙잡기 위해 날마다 새벽까지 몸부림을 치곤 했다. 그러나 절망

스럽게도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이럴 때를 대비해 일기라도 써둘 걸

하는 막심한 후회마저 들었다.

 

  윤대녕작가의 위 문단에서 맨 마지막 문장이 나를 붙잡았다.

일기를 쓰고 있지만, 가끔 옛날 일기장에서 낫선 여자이름을 보고

당황하기도 한다. 그녀의 얼굴은 커녕 기억이 하나도 나지 않기에.....,

일기 또한, 기억이 없다면,

한 낱 재미없고 유치찬란한 기록에 불과할 테니 말이다.

 
  오랫만에 읽은 윤대녕 소설은 흥미롭긴 했지만 아쉬움 점도 있다.

이 소재는 장편의 이야기 틀 속에서 매력적이기 보다는

단편으로 함축했을 때 설득력이 높은 거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