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숲 - 합본
신영복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정확히 10년만에 이 책을 다시 읽었다. 21세기를 눈 앞에 둔 1998년 이 책이 처음 출간 되었을 때 읽었던 것이다. 당시, 중앙일보의 기획기사로 일주일에 한 번씩 연재 되던 걸 감칠맛나게 보곤 했던 터라 감회는 배가 되었다.
신영복 선생님의 세계여행기를 읽으며 다른 나라들이 몹시 궁금해졌다. 해외여행을 떠나기 위해서 필요한 여권을 만든 것도 이 시기였다.
지금 다시 봐도 놀라운 점은 문화와 세계사에 대한 선생님의 깊은 안목이다.
현지의 문화와 풍습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의 시각으로 그럴수 밖에 없던 환경과 이유까지 짚어 내시는 사유를 보여 주신다. 무엇보다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것에 주목하는 시선이 아름답다. 다음의 문장들은 나를 멈짓하게 만들었다.
"진실이 아닌 위로는 결국 또 하나의 절망을 안겨줄 뿐입니다."
폴란드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영화 [쉰들러리스트]의 사실과 다르다는 걸 알게 되고 남기신 말씀입니다. 영화와는 달리 쉰들러는 유대인들을 공장에 고용해주는 대가로 뒷돈을 받으며 장사를 했다고 합니다. 스필버그 감독은 이 사실을 알았었겠지만 영화의 감동을 위해 거짓 휴머니즘으로 치장한 것이었겠죠. 영화라는 기계장치의 매혹이면서도 한계가 아니였나 싶습니다.
"자본주의의 과정은 당신의 말처럼 상품화의 과정입니다. 도중에서 만나는 것마다 그것을 상품화해온 것이 사실입니다. 인간의 노동력은 물론이며 신체의 일부마저 상품화하고 사랑과 명예에 이르기까지 상품화하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의 더러운 역사를 이보다 쉽고 잘 설명하기도 어려울 거 같습니다. 한편으로는 그래서 이 문장이 무섭게 느껴집니다.
페루 나스카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그림이야기를 듣고는 무척이나 신기했습니다. 아직도 그 그림을 어떻게 제작하고 지휘했는지 설명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세계에 설명되지 못하는 미스테리한 일들과 마주칠 때마다 한 없이 초라한 인간의 지식을 되돌아 보게 됩니다.
"우리는 흔히 그 사람을 알기 위하여, 그의 과거를 묻는 것 못지않게 그의 꿈을 물어봅니다. 그의 꿈을 물어 그 사람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살면서 하고 싶은 게 명확했던 나는 다른 친구들에게도 아무 생각 없이 뭐 할거냐고 묻곤 했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인데 그 질문 자체가 폭력이더라. 초등학생 이후 꿈을 가져 본 적 없이 그냥 살아가는 사람들도 수 없이 많다.
"꿈이란 한 개를 보여줌으로써 수많은 것을 보지 못하게 하는 몽매(朦昧)의 다른 이름이기도 합니다."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돈을 벌 수 있는 사람들은 크게 많지 않다. 먹고 살기 위해서 자신의 원치 않는 일이라도 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예술 혹은 문화를 꿈꾸는 어설픈 창작자들은 부모님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을 괴롭히면서 문화 백수 라는 타이틀로 반란을 꿈꾸며 오늘 하루도 버티어 나간다. 꼭 자기여야 하는 건 아닌데, 그걸 인정하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정상은 사람이 살 곳이 못 됩니다. 그곳을 오르는 것은 마치 없어도 되는 물건을 만들거나 사랑하지 않는 사람을 농락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뒤통수를 치는 문장이다. 사랑하지 않는 사람을 농락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