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얼 작곡가, 작사가, 프로듀서 ㅣ 청소년을 위한 진짜 진학, 진로, 직업 멘토링 3
MODU 매거진 편집부.박경임 지음 / 가나출판사 / 2017년 3월
평점 :
제가 대학에 다녔던 80년 대 말까지만 하더라도 실용음악과는 들어본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유명 싱어송라이터나 가수, 작곡, 작사가들은 대부분 일반 대학을 다니다가
음악쪽으로 빠지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습니다. 특히 대학가요제를 통해 가수의 길로 들어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강변가요제를 통해 데뷔했던 이선희 씨나 대학가요제 대상을 받았던 무한궤도의 보컬 신해철 씨가
그런 경우인 것 같습니다. 영화배우 한석규 씨도 대학가요제에 나왔던 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당시에 대학가요제와 강변가요제의 인기는 엄청났었죠.
하지만 요즘은 대학가요제보다는 각종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가수로 데뷔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실용음악과의 경쟁률이 엄청나더군요.
딸이 뜬금없이 실용음악과를 간다고 했을 때 솔직히 말리고 싶었습니다. 실용음악과 경쟁률이 높아서
대학에 들어가기도 어렵고 대학에 들어가서 졸업한다고 해도 과연 제대로 먹고 살 수나 있을지 걱정
스러웠기 때문입니다.
작곡가나 작사가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더 두려웠던 것 같습니다.
그러던 차에 읽게 된 책, 「리얼 작곡가 작사가 프로듀서」입니다.
이 책에서는 프로듀서와 작곡가, 작사가에 대해 많은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현직에 있는 뮤지션들의 실제 경험담을 이야기하고, 그들이 멘토가 되어 10대들이 궁금해 하는 것들을
친형, 친언니처럼 알려주고 있습니다.
프로듀서의 역할이 무엇인지, 작곡가가 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하고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작사
가는 어떻게 될 수 있는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노래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작곡가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저작권료만 가지고도 생활할 수
있는지 등 앞으로 대중음악 관련 일을 하고 싶은 청소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특히 작곡가, 작사가, 프로듀서가 되기 위한 대학 및 학과 정보 뿐 아니라 세 가지 직업의 전망과 관련된
직업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어 작곡가, 작사가, 프로듀서의 꿈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이 읽으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