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를 위한 매일 차릴 수 있는 밥상 - 말기암 환자의 아내가 경험으로 쓴 책
임현숙 지음 / PUB.365(삼육오)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족 중에 환자가 있으면 아무래도 제일 신경 쓰이는 것이 매일 먹는 한 끼의 식사일 겁니다.
환자에 맞추자니 너무 간이 싱거울 것 같아 대부분의 경우 두 가지 식단으로 상을 차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족에게도, 환자에게도 좋은 건강식, 더불어 그걸 먹고 환자의 건강이 나날이 좋아진다면 더할 나위
없겠죠.

이 책은 말기암 환자의 아내가 남편을 간병하면서 매일 차려냈던 밥상입니다.

단순한 장염 증상이라고 생각하고 찾아갔던 병원에서 들은 의사의 소견은 놀랍게도 담관암 말기.
믿기지 않아 다른 큰 병원을 찾아 검사해도 마찬가지.
"원발성 담관암종 4기"

병원에서는 힘들다고, 치료 후 나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1개월이 될지 3개월이 될지 모른다고 했던
남편을 아내의 정성어린 노력과 주변의 도움으로 완치판정을 받기까지의 과정을 일기처럼 담담하게
쓴 글입니다.

지금 암 투병중인 환자를 돌보고 있는 가족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물론 암의 종류에 따라 치료방법이나 먹는 음식도 달라질 수 있고, 때론 상대적으로 쉬운 암도 있겠
지만(친정 엄마가 갑상선암 수술을 앞두고 있을 때 의사 선생님께서 제게 하셨던 말입니다. "저한테
어떤 암이 걸릴지 선택권이 주어진다면 전 갑상선암을 고르겠어요. 그만큼 예후가 좋은 병입니다."
갑상선암이 다른 암에 비해 5년 후 생존확률이 많이 높다고 합니다), 다른 암들도 식이요법이 병의
진행에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암환자를 위한 식단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
니다. 

밥과 물을 바꾸고 소금을 사용하지 않고 소나 돼지고기 대신 닭과 오리, 생선, 해물로 대체한 식단.
항암효과가 있는 채소나 과일은 어떤 게 있는지, 어떤 차가 몸에  좋은지 알려 주고 있습니다.

이 책은 전문가가 항암식단을 소개하고 있다기 보다 이웃의 친구가 어느 날 암에 걸렸는데 자신이
어떻게 해서 완치되었는지 투병기록과 완치하는 과정을 수록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항암치료 2개월 만에 간에 전이된 제일 큰 암 덩어리가 40% 이상 줄었다"는 소리를 듣고는 나도
모르게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p 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