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걸 다 재는 단위 이야기
호시다 타다히코 지음, 허강 옮김 / 어바웃어북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중·고등학교 시절 과학시간에 선생님께서 가장 강조하셨던 것이 바로 단위였습니다.
특히 고등학교 3학년 담임 선생님께서 물리선생님이셨는데 수업시간에 "단위"를 무척이나 강조
하셨습니다.
기껏 문제를 잘 풀었다 하더라도 단위를 쓰지 않고 숫자만 달랑 썼다가는 여지없이 오답 처리를
하시곤 했죠.
시험 공부를 하면서 여러가지 단위를 마구잡이로 외우는 게 쉽지 않았는데 이 책은 재미있게 풀어
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30년 전에 이런 책이 있었다면 과학 시간을 조금은 더 재미있게 보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
니다.
쉽게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위들도 소개하고 있지만 낯선 단위들도 보여 조금 어렵다는
느낌이 들기도 했습니다.
단순하게 단위에 대해 설명만 하고 말았다면 지루했을텐데 어떻게 해서 단위가 만들어졌는지,
단위의 재미있는 유래도 소개하고 있어 딱딱하지 않고 술술 잘 읽혔습니다.
처음 전기는 호박이라는 광물을 닦다가 발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처음엔 먹는 호박을 생각하고는
깜짝 놀랐는데 곧바로 남자 한복에 달려 있는 호박단추를 생각하고는 '아하' 했답니다.
기원전 600년경 그리스 철학자 탈레스가 호박을 모피로 문질렀더니 깃털 같은 가벼운 물체가 호박
에 달라붙었다고 합니다. 바로 정전기 현상이죠.
하지만 그리스 사람들은 정전기 현상을 호박에 신이 머물러 있어서 물체를 끌어당긴다고 생각했다
네요.
그 후 2000년이 지나고 나서야 영국의 물리학자가 두 물질을 문질렀을 때 생기는 전기적 인력과
척력의 관계를 밝히면서 비로소 전기를 '일렉트릭(electricity)'이라고 했다네요.
일상생활에서 쉽게 듣고 사용하는 단위인 미터나 센티미터, 곡식을 잴 때 사용하는 단위인 홉, 작,
되, 말.
다이어트에 꼭 필요한 단위 칼로리. 건강에 필요한 단위 mmHg. 혈압을 잴 때 사용하죠.
얼마 전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의 규모를 측정하는 단위, 진도.
소리의 시끄러운 정도를 알려주는 단위, 데시벨.
왕의 신체 사이즈로 만들어진 단위들인 인치, 야드, 피트, 마일.
단위에 관련된 이야기들을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어 과학이 어렵다고 느끼거나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과학의 새로운 면을 보여주고 다가갈 수 있도록 흥미를 가져다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