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의 사랑 - 순수함을 열망한 문학적 천재의 이면
베르벨 레츠 지음, 김이섭 옮김 / 자음과모음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때 읽었던 데미안!!!
<데미안>을 읽고 헤르만 헤세에 대해 알게 되었고 그의 작품을 찾아 읽게 되었습니다.

<데미안>과 <지와 사랑>은 청소년기에 읽었지만 <수레바퀴 밑에서>는 최근에 읽게 되었습니다.
그의 작품을 읽으면서 그의 개인적인 삶은 어땠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마침 그의 인생을

살펴볼 수 있는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나의 사상이나 예술관 때문에
내 인생에서, 혹은 여성들과의 관계에서 종종 어려움에 봉착한다.
나는 사랑을 부여잡을 수도, 인간을 사랑할 수도,
삶 자체를 사랑할 수도 없다.

헤르만 헤세

그의 인생에 아내라는 이름으로 자리했던 세 명의 여인들.
가장 오랜 기간동안 헤세와의 결혼생활을 유지했던 마리아 베르누이....
헤세의 작품활동을 위해 아이들을 낳고 키우고 집을 가꾸고 집 안 대소사를 혼자서 묵묵히 해결했던 그녀.
자신의 모든 것을 포기하고 오로지 헤세를 위해서만 살았던 그녀가 어찌보면 안타깝기도 하고 바보같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두 번째 여인 루트 벵거.
그녀는 스무 살이나 연상인 헤세를 왜 사랑하게 되었을까요?
첫 번째 부인 마리아 베르누이가 정신착란증이 있고 그 때문에 별거중이라는 소문때문에 그에게 연민을

느꼈던 걸까요? 아니면 그의 작품에 반했던 걸까요?

 

세 번째 여인 니논 돌빈.
십대 시절 헤세의 소설 "페터 카멘친트"를 읽은 후 헤세에게 팬레터를 보냈던 소녀는 결혼 후 자신의 침체된

결혼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헤세를 만날 생각을 합니다.
헤세를 만나고 온 그녀는 결국 자상한 남편 돌빈을 남겨두고 헤세에게 편안한 휴식처가 되어주기로 결심합니다.

하지만 헤세가 그녀에게서 벗어나고 싶어할 정도로 그를 구속합니다.

그가 노벨문학상을 받게 된 후에 그를 만나러 오는 방문객을 하나하나 점검했던 니논에게서 헤세가 무력감을

느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의 책들을 읽으면서 깊은 감명을 받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니 왠지 거부감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한 편으로는 그가 결혼에 어울리지 않는 사람이라는 걸 알면서도 그를 선택한 그의 아내들도 이해가 되지 않았

습니다. 자유로운 영혼을 갈망했던 헤르만 헤세에게 필요한 건 아내가 아니라 어쩌면 정신적으로 안식을 취할

수 있는 편한 친구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위대한 작가의 가정사를 알게 되니 그의 작품 속에 나오는 인물들에 대해서 조금은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