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처럼 써라 - 이 광활하고도 지루한 세상에서 최고의 글쟁이가 되는 법
정제원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는 내 이름으로 된 책을 내고 싶다는 소망을 가지고 있는 저로서는 유난히 글쓰기 관련 책을 많이

보는 편입니다.

몇 년 전 우연히 도서관에서 <뼛 속까지 내려가서 써라>는 책을 읽고 무척 감탄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 책은 빌려 읽을 게 아니라 구입해서 두고 두고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책을 구입하고는 다시 읽을 생각을 않고 쳐박아두었던 게으른 성격의 저.

하지만 서평을 쓰기 시작하면서 글을 잘 썼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다시 들기 시작했고, 다양한 사람들의
글쓰기 비법들이 들어 있는 책들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대부분의 책들이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이미 글을 잘 쓰기로 정평이 나 있는 사람들의 글을 베껴쓰라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베껴쓰기 좋은 글을 소개하는 책도 있고 때로는 "이렇게 써라"라고 구체적으로 조언하고 있는 책도
있습니다. 그 중에 많은 책들이 반드시 글을 다 쓰고 난 후에는 "퇴고"의 과정을 거치라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저는 한 번 쓴 글은 다시 읽어보지 않는 성격이라 "퇴고"의 과정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습니다.
간혹 다시 읽어보기도 하지만 그건 오타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지, 전체 글의 흐름을 바꾸기 위해서는
아니었습니다.

언젠가 어떤 작가가 글을 쓸 때는 되도록 단순하게 써야 한다고 해서 그 후로는 단문 위주의 글을 쓰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역시 초보 글쓰기 단계에 있는 터라 다른 사람들이 제가 쓴 글을 이해하지 못할까 싶어 중언부언
하게 됩니다.

이 책에서는 글을 쓸 때 처음과 중간, 마무리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책의 차례만 보고서도 이 책의 내용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을만큼 글들이 단순명료합니다.

저자가 이공계 출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역시 짐작대로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한 엘리트
였습니다. 직장을 다니다가 국문과로 편입하여 공부해서 그런지 글의 내용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
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소설가나 시인들이 쓴 글쓰기 훈련 책과는 사뭇 다른 느낌의 책이었습니다.
서론, 본론, 결론의 논설문 쓰는 법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동안 가벼운 에세이류의 글을 썼던 사람이라면 이런 방법의 글쓰기를 시도해 보는 것도 새로운 경험이
될거란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