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가처럼 써라 - 이 광활하고도 지루한 세상에서 최고의 글쟁이가 되는 법
정제원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4년 7월
평점 :
언젠가는 내 이름으로 된 책을 내고 싶다는 소망을 가지고 있는 저로서는 유난히 글쓰기 관련 책을 많이
보는 편입니다.
몇 년 전 우연히 도서관에서 <뼛 속까지 내려가서 써라>는 책을 읽고 무척 감탄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 책은 빌려 읽을 게 아니라 구입해서 두고 두고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책을 구입하고는 다시 읽을 생각을 않고 쳐박아두었던 게으른 성격의 저.
하지만 서평을 쓰기 시작하면서 글을 잘 썼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다시 들기 시작했고, 다양한 사람들의
글쓰기 비법들이 들어 있는 책들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대부분의 책들이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이미 글을 잘 쓰기로 정평이 나 있는 사람들의 글을 베껴쓰라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베껴쓰기 좋은 글을 소개하는 책도 있고 때로는 "이렇게 써라"라고 구체적으로 조언하고 있는 책도
있습니다. 그 중에 많은 책들이 반드시 글을 다 쓰고 난 후에는 "퇴고"의 과정을 거치라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저는 한 번 쓴 글은 다시 읽어보지 않는 성격이라 "퇴고"의 과정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습니다.
간혹 다시 읽어보기도 하지만 그건 오타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지, 전체 글의 흐름을 바꾸기 위해서는
아니었습니다.
언젠가 어떤 작가가 글을 쓸 때는 되도록 단순하게 써야 한다고 해서 그 후로는 단문 위주의 글을 쓰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역시 초보 글쓰기 단계에 있는 터라 다른 사람들이 제가 쓴 글을 이해하지 못할까 싶어 중언부언
하게 됩니다.
이 책에서는 글을 쓸 때 처음과 중간, 마무리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책의 차례만 보고서도 이 책의 내용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을만큼 글들이 단순명료합니다.
저자가 이공계 출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역시 짐작대로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한 엘리트
였습니다. 직장을 다니다가 국문과로 편입하여 공부해서 그런지 글의 내용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
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소설가나 시인들이 쓴 글쓰기 훈련 책과는 사뭇 다른 느낌의 책이었습니다.
서론, 본론, 결론의 논설문 쓰는 법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동안 가벼운 에세이류의 글을 썼던 사람이라면 이런 방법의 글쓰기를 시도해 보는 것도 새로운 경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