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함께 살아서 좋아 - 도시 속 둥지, 셰어하우스
아베 다마에 & 모하라 나오미 지음, 김윤수 옮김 / 이지북 / 2014년 6월
평점 :
20년 전 제가 결혼할 당시만 해도 고등학교 동창들에 비해 이십 대 후반에 결혼한 제가 늦은 편이라고
생각했는데 대학동창들은 아직까지 솔로인 친구들이 많은 걸 보면 결혼에 대한 시각이 많이 달라진 걸
알 수 있습니다.
막상 결혼을 하더라도 요즘은 일부러 아이를 갖지 않는 딩크(DINK : Double Income No Kids)족도
생기는 걸 보면 정말 결혼에 대한 개개인의 생각들이 천차만별인 것 같습니다.
혼자 살더라도 다인가족과 마찬가지로 주거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서울처럼 물가가 비싼 곳에서는
자기 집을 소유한다거나 비싼 월세를 내면서 사는 게 만만치 않습니다.
하물며 서울보다 물가가 훨씬 비싸다는 일본은 더 말할 나위도 없겠죠.
오래 전부터 일본의 집값이 비싸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유독 일본 사람들은 작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방법을 많이 알고들 있더군요.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좋겠지만 너무 공간이 좁다면 답답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직장에서 파김치가 되어 집으로 돌아왔는데 방이 좁아 답답하다면 더 스트레스가 쌓일 것
같네요.
저 또한 동생과 처음 자취했을 때 부엌도 없는 방 한 칸에서 시작했거든요. 제가 직장 생활을 하면서
방 두 개와 부엌까지 딸린 연립을 구해서 그나마 숨통이 트였던 기억이 납니다.
비슷한 가격으로 좀 더 넓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과연 어떨까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소리를 듣는다면 귀가 번쩍 뜨일 겁니다.
단 조건이 있습니다.
다른 누군가와 집을 공유한다는 겁니다.
하나의 집에서 각자의 방을 소유하고 부엌과 거실은 공동소유하는 방법.
어떻게 보면 프라이버시 침해가 되지 않을까?
서로 사랑하는 사람들끼리 결혼해서 한 집에 살아도 성격때문에 티격태격하는데 과연 모르는 사람들
끼리 같이 사는 게 가능할까?
라는 의문이 들었는데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견들을 살펴보니 의외로 괜찮은 아이디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육아라는 문제, 노인이 되어 찾아 온 '고독'의 문제,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젊은이
들에게 21세기 마을 공동체를 설립하여 도움을 주고 받는 것도 꽤 좋은 아이디어 같습니다.
각자에게 윈윈하는 전략이 될 것 같습니다.
비싼 집을 구입하느라 무리하게 대출을 받고 결국 하우스푸어로 전락하고 마는 많은 사람들,
어쩌면 적은 돈으로 공동주택을 구입하여 함께 살게 되면 외로움도 해결하고 주거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다양한 셰어하우스의 형태, 실제 셰어하우스를 선택하여 살고 있는 사람들을
인터뷰한 내용들은 셰어하우스에 대해 많은 정보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갈수록 1인 가구가 늘어가는 요즘, 셰어하우스의 다양한 형태는 새로운 주거 문화로 자리 잡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