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일하는 엄마로 산다는 것 - 일도 잘하고 싶고, 아이도 잘 키우고 싶은 당신을 위한 따끔하지만 가장 현실적인 조언 33
신의진 지음, 김경림 엮음 / 걷는나무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일하는 엄마로 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는 아마 일을 하지 않는

전업주부들도 알고 있을 것이다.

 

난 워낙 살림에 취미도 없고 잘 할 자신도 없는데다가 원래 사람들과 어울리는 걸 좋아하는 사람인지라

결혼하고서도 당연히 일을 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첫째를 임신하고 한 차례 유산의 위험을 겪고 나서 의사선생님께서 "애 낳을려면 회사 그만두셔야

합니다. 워낙 몸이 약해서 나중에 애를 갖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라고 하셨을 때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그만두었다.

 

8개월동안 거의 누워 생활하다시피 해서 만나게 된 첫 아이.

너무 행복했지만 아이의 잦은 병치레와 곧 이어 가진 둘째때문에 쉽게 지치게 되었다.

남들은 애도 쑥쑥 잘만 낳고 일단 낳기만 하면 애들은 저절로 큰다는 어른들 말씀과 달리 우리 아이들은

온갖 병들을 두루 섭렵했고 누군가 애 둘을 낳는다고 하면 도시락을 싸들고 다니며 말리겠다고 남편과

나는 주위 사람들에게 이야기하곤 했다.

 

아이들이 어린이집에 다닐만큼 크고 나 또한 경제적인 이유로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어떤 일을

할 것인지 고민하다가 직장에 다니는 것보다 집에서 아이들을 돌보면서 일을 하는게 좋을거란 생각에

공부방을 차리게 되었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학부모 모임이 잦았는데 그 때 직장에 다니는 엄마들과 전업주부들의

상황을 보며 왜 엄마들이 아이들이 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회사를 그만둘 수 밖에 없는지 알게 되었다.

 

아이들이 엄마를 필요로 할 시기에 많은 엄마들이 회사를 그만둔다. 그리고 아이들이 엄마의 손을 떠날

때 일을 갖고 싶어하지만 오래도록 사회와 단절된 생활을 했던 엄마들이 다시 전문적인 일을 갖는다는

건 무척 어려운 일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것이 최선의 방법일까?

엄마의 경력도 단절되지 않고 아이에게도 엄마와 좋은 유대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법,

 

이 책은 소아정신과 의사이면서 두 아이의 엄마인 신의진 선생님이 자신이 두 아이를 키우면서 힘들었던

상황들을 솔직하게 털어놓으며 어떻게하면  일과 아이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는지 조언해주고 있다.

 

솔직히 의사와 같은 전문직 여성이라면 좋은 환경에서 좋은 도우미를 구해 생활하면 될텐데, 과연 그런

사람에게 힘든 일이 있을까?라는 선입견이 있었다.

 

하지만 평범한 아이와 다른 첫째 아이를 키우면서 힘들었던 점이나 직장에서의 문제들, 시댁과의 갈등을

어떻게 풀어나가야할지 구체적인 조언을 해주고 있어 아이를 낳고 일을 그만두려는 엄마들이나,

결혼하고나서도 아이를 낳을지 고민하는 여성들에게 좋은 지침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