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원을 이루는 마력 E2
팸 그라우트 지음, 이경남 옮김 / 알키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 <시크릿>이란 다큐멘터리를 보고 '뭐지?'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나중에 <시크릿>이 책이란 걸 알고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더랬죠.

책을 읽으면서 한 눈에 반해버리고 말았습니다.

"끌어당김의 법칙"은 정말 공감이 되었거든요.

그 책을 읽은 후 친구에게도 선물을 했었죠.

 

그리고 얼마 있지 않아 도서관에서 새로운 책을 발견하게 됩니다.

<꿈꾸는 다락방>의 이지성 작가가 <시크릿>에 반박하는 내용을 쓴 <노 시크릿>이란 책이었습니다. 이 사람 저 사람의 말에 왔다리 갔다리 하는 팔랑귀를 가진 저는 이번엔 또 이지성 작가의 말에 크게 공감합니다.

 

<시크릿>을 처음 읽었을 때는 원하는 것을 얻을 때 당연히 노력이 들어가야 한다는 전제하에 믿었는데 이지성 작가의 말로는 <시크릿>이 주장하는 것에는 노력을 하지 않아도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믿으면 이루어진다고 했다는 겁니다.

 

여전히 <시크릿>과 <노 시크릿>, <꿈꾸는 다락방>은 1% 부족한 무언가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비슷한 책이 또 나왔네요.

처음엔 이 책 또한 <시크릿>과 유사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한 가지 차이점은 믿음의 문제였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이유는 그것을 간절히 원하고 바라지만 정작 내면 깊은 곳에서는 그것이 정말로 이루어질거란 생각을 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정말로 이루어졌다고 확신을 하면 그게 사실이 되는데 많은 사람이 의심을 한다는 겁니다.

 

저자는 세상에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에너지 장이 있어서 어떤 상황, 어떤 조건에서도 믿기만 한다면 반드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내가 무엇을 생각하든 그 생각은 '어김없이' 물리적 현실에 영향을 준다는 겁니다.

 

그리고 그러한 저자의 믿음을 확신시켜줄 수 있는 아홉가지 실험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생각을 현실로 창조하는 실험입니다.

아홉가지 원칙을 소개하면서 그 원칙이 정말이라는 걸 입증하기 위해 매 장의 끝부분에 실험보고서를 첨부해두었습니다.

 

하나의 원칙을 실험하는 데 필요한 시간, 방법과 결과를 기록하는 종이를 제공합니다.

솔직히 마음 한 구석에는 '밑져야 본전이니 한 번 해볼까?'하는 마음과 '정말 되겠어? 말도 안 돼'라는 두 가지 생각이 싸우고 있습니다.

 

결국 어떤 편이 이길지는 직접 실행에 옮겨보는 방법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실행할까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그건 책을 읽는 사람들 마음에 따라 달라지리라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