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즐거운 뇌, 우울한 뇌 - 최신 심리학이 밝혀낸 낙관과 비관의 비밀
일레인 폭스 지음, 이한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민숙아, 어디선가 읽은 이야기인데, 사람이면 누구나 다 메고 다니는 운명자루가 있고, 그 속에는 저마다 각기 똑같은 수의 검은 돌과 흰 돌이 들어 있다더구나. 검은 돌은 불운, 흰 돌은 행운을 상징하는데 우리가 살아가는 일은 이 돌들을 하나씩 꺼내는 과정이란다. 그래서 삶은 어떤 때는 예기치 못한 불운에 좌절하며 넘어지고, 또 어떤 때는 크든 작든 행운을 맞이하여 힘을 얻고 다시 일어나는 작은 드라마의 연속이라는 것이다. 아마 너는 네 운명자루에서 검은 돌을 몇 개 먼저 꺼낸 모양이다. 그러니 이제부터는 남보다 더 큰 네 몫의 행복이 분명히 너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고 장영희 교수가 쓴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에 나온 글이다.
장영희 교수는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었지만 그녀의 글을 읽어보면 나 또한 긍정의 마음을 갖게 된다. 만약 자신에게 끊임없이 불행이 닥쳐올 때 저런 생각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인생지사 새옹지마"라는 말처럼 지금의 불운이 내일의 행운을 가져다준다면 몰라도 계속해서 검은 돌만을 꺼내게 된다면 과연 그걸 끝까지 버텨낼 사람이 있을까?
비슷한 크기의 불행한 일을 당했는데 어떤 사람은 그 일을 훌훌 털고 앞으로 나아가는데 반해 어떤 사람은 그 자리에 주저앉아 인생을 포기해버리기도 한다.
두 사람의 차이는 과연 무엇일까?
단순하게 낙관론자와 비관론자의 차이일까?
낙관론자와 비관론자의 차이는 어디에서 발생하는 것일까?
이 책은 사람들이 느끼는 낙관과 비관의 비밀을 뇌에서 찾고자 했다.
책을 읽기 전에는 낙관론자와 비관론자의 차이가 뇌과학에 있다고 생각하지 못했었다.
그런데 낙관론자와 비관론자는 사람들의 정서 뇌가 반응하는 방식에 따라 나뉘어지고 그들의 행동방식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오래 전엔 사람들의 유전자 조성에 따라 낙관론자와 비관론자로 나뉘었지만 이제는 유전적 요소 뿐 아니라 환경적 요소, 우리가 똑같은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성향이 바뀔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우울한 뇌와 즐거운 뇌의 토대가 되는 뇌회로를 얼마든지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하면서 사람들의 정서 뇌를 긍정적이고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바꿈으로써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심리학과 뇌과학을 접목하여 설명했기 때문에 조금은 어려웠던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