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20시간의 법칙 - 무엇이든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가장 완벽하게 배운다
조시 카우프만 지음, 방영호 외 옮김 / 알키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무엇이든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가장 완벽하게 배운다."

표지에서 제일 먼저 만난 문장이다. 


인생은 짧고 해야 하는 일과 하고 싶은 일은 많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두 가지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자신이 원하는 일보다는 해야 하는 일에 시간을 투자한다. 


직업을 선택할 때도 자신이 하고 싶은 일보다는 안정적이고 고소득을 보장하는 일을 선호한다. 

초등학교에 다닐 때는 그나마 이것 저것 가볍게 손을 대보지만 이내 대학입시를 준비하기 위해 좋아하는 일들은 뒷전으로 밀려나게 되고 공부를 최우선으로 하게 된다. 

대학에 들어가면 배워야지, 직장에 들어가면 배워야지 하면서 말이다. 

하지만 언젠가 꼭 하리라고 마음 먹었던 일들은 이내 다른 중요한 일들에 밀려 잊혀지고 만다. 

한참 시간이 흐른 후엔 '그때 좀 배워둘 걸'하는 후회를 해보지만 다시 시작할 엄두는 내지 못한다. 

악기 하나를 배우려고 해도 꽤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새로운 걸 배운다는 게 쉽지 않다는 걸 깨닫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제일 꺼려지는 것이 새로운 것을 배우기 위해 들여야 하는 시간때문이 아닐까 싶다. 


악기 하나를 배우든, 운동을 배우든, 꾸준히 몇 년동안을 하지 않으면 효과를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우리 아이들도 초등학교 때 운동과 악기를 2,3년씩 배웠지만 몇 년이 지난 지금은 거들떠도 보지 않는다. 딸의 경우엔 바이올린을 배우고 싶다고 하도 조르길래 레슨을 받게 해줬더니 몇 년 배우다가 싫증을 내더니 그만하겠다고 하는 것이다. 

"하기 싫다는 것은 절대 시키지 말자"는 주의인 나는 옳다구나 싶어 바이올린을 끊었다. 

한 편으로는 어느 정도 익숙해질 때까지는 더 배웠으면 좋겠다는 생각과 한 편으론 열심히 연습도 하지 않는데 억지로 가르쳐서 쓸데없이 레슨비만 날릴 필요가 있나?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어쨌든 무엇을 배우든 꽤 오랜 기간을 배워야 어느 정도의 기술을 익힐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던 차에 처음 20시간만 투자해서 요가, 악기, 영어공부, 바둑과 같은 일을 익힐 수 있다고 하니 귀가 솔깃해졌다. 


저자는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실제로 요가, 우쿨렐레, 윈드서핑, 바둑에 자신의 이론을 적용하여 터득한 내용도 수록하였다. 


평소 자신이 도전하고 싶었던 과제를 정하고 어느 정도 수준까지 이룰 것인지 목표를 정하고, 목표 기술을 하위기술로 세분화하여 주기적인 반복과 강화로 기술들을 마스터하라고 한다. 


새로운 기술을 배울 때 많은 사람들이 중도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처음엔 자신이 좋아서 배우기 시작했지만 일정 수준이 되면 더이상 진도가 나가지 않으면서 벽에 부딪히는 순간이 온다. 그 순간을 건너 뛰어야 즐거움을 유지하면서 끝까지 기술을 익힐 수 있는 법인데 그 벽에 부딪히는 순간을 건너뛰게 해 주는 것이 20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이다. 사실 20시간이라면 그다지 긴 시간이 아니라 누구나 질리지 않고 이겨낼 수 있는 시간이다.  


하지만 정말로 20시간만 투자하면 그렇게 될까?라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영어 공부, 그게 20시간을 투자해서 배울 수 있는 거라고? 

글쎄? 

의문이 드는 사항이다. 

악기 같은 경우는 기본만 익힌 후에 20시간 동안 한 곡만 완벽하게 익히고 그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말이다. 


이 책에서 주장하고 있듯이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가장 완벽하게 배운다는 것보다는 초보딱지를 뗀다는 의미에서 20시간의 법칙을 이해하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