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의 즐거움 - 첫 줄을 시작할 용기를 주는 63가지 글쓰기 경험 스마트폰 시대의 글쓰기 시리즈
권지영 지음 / 바틀비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
다.

제게 글쓰기는 스트레스 해소의 역할을 합니다. 커피를 마시러 카페에 
가면 냅킨에 끄적거리기도 하고 블로그에 스마트폰을 이용해 글을 올
리기도 합니다. 

아주 개인적인 내용은 비공개로 저장하고 책을 읽고 난 감상은 서평으
로 마무리합니다. 

애들이 어렸을 때 자주 병원에 가야 했는데 꽤 스트레스를 받았던 것 
같습니다. 그 스트레스를 노트에 풀어놓기만 해도 감정이 정리되고 해
소되는 경험을 했기에 지금까지도 글쓰기는 제게 유일한 취미이자 문
제 해결책입니다.

한 번 뱉은 말은 주워담을 수 없는 반면, 글은 마음에 들 때까지 고쳐 
쓸 수 있기 때문에 저처럼 말을 조리있게 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글쓰
기는 상대방에게 마음을 제대로 전달할 좋은 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아직까지도 다른 사람에게 내놓을 자신이 있는 글을 써 본 적이 없지
만, 이 책을 읽고 나니 글쓰기의 목적이 꼭 다른 사람에게 내보이기 위
한 것만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혼자만 읽고 말 글을 쓰는 건 아무런 상관이 없지만, 누군가에게 읽힐 
글을 쓴다는 일은 참 부담스러운 일입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글을 쓰는 걸 두려워하고 어려워합니다. 

하지만 일단 첫 줄을 시작하기만 한다면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
낼 수 있을 거라 작가는 자신있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1장의 글쓰는 사람들>에서는 작가가 하고 있는 글쓰기 강좌에서 만
난 사람들이 어떻게 첫 줄을 시작하고 글을 마무리하게 되었는지 그 
이야기들을 풀어놓고 있습니다. 

<2장 무엇을 쓸 수 있을까>에서는 어떤 재료로 글을 시작할 것인지, 
글이 안 써질 때는 좋아하는 노랫말을 쓰는 것부터 시작해도 좋다고 
합니다. 

어린 나에게 쓰는 편지를 써 볼 수도 있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쓸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단 한 줄이라 하더라도 매일 
꾸준하게 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3장 어떻게 시작하지?>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글을 쓰는 게 좋은
지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서 유익했습니다.

전문적인 글쓰기 방법론을 제시하는 책이라기보다 첫 줄을 쓰기 어
려워하는 글쓰기 초보자들이 가볍게 읽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