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 성공법칙 - 일터의 고민이 해결되는 순간 인생의 문제도 풀린다
데이비드 브렌델.라이언 스텔처 지음, 신용우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법도 법이다"라며 독주를 마시고 자신의 억울한 죽음을 기꺼이 받아들였던 소크라

테스.

이 책은 모든 일을 숫자로만 판단하는 현대 사회의 비인간적인 해결방법으로는 아무 문

제도 해결되지 않는다며 고대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방법을 도입하자고 합니다.

구글에서 하나의 팀이 높은 성과를 내는 비결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프로젝트

를 기획했다고 합니다. 그 프로젝트는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

프로젝트를 할 때 최고의 실력을 갖춘 팀원들로만 구성된 팀이 최고의 성과를 낼 것이라

는 기대와 달리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를 통해 알아낸 것은 팀이 최고 성과를 내는

비결이 각 개인의 전문성이 아니라 팀원들 전체가 가진 "심리적 안정감"이 중요한 요소

였다고 합니다.

회사의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의를 할 때 팀장만 의견을 내놓고 그 의견을 강

요할 때, 자신과 반대되는 의견을 내놓는 팀원을 무시할 때 과연 어떤 팀원들이 자유롭

게 의견을 내놓을 수 있을까요?

팀장과 다른 의견을 내놓으면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싶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몸을 사리

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팀원들에게 절대 불이익을 받지 않을 거라는 심리적 안정감이

있다면 창조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

문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해 우선 정답을 정해놓지 말고 어떤 다양한 방법의 해결책이

있는지 천천히 생각을 해 봐야 한다고 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물어볼 때는

'예, 아니오'로만 대답할 수밖에 없는 '폐쇄형 질문'이 아니라 다양한 대답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개방형 질문'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일단 개방형 질문으로 상대방의 다양한 대답을 이끌어낸 후 대화를 하다 보면 서로 존

중하게 되고 건전한 피드백을 주고 받으며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았던 문제를 새로운 관

점에서 볼 수 있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뜻밖의 큰 성과를 낼 수도 있습니다.

모든 성과가 숫자로 나타나는 비인간적인 21세기의 업무환경에서 소크라테스의 문제

해결법으로 인간성을 되찾는 것이 새로운 시대에 적합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해결하기 힘든 문제에 직면했을 때는 한 발 물러서서 천천히, 신중하게 생각을 해 보고

그 후에 사람들과 열린 마음으로 다양한 의견을 주고 받으면서 정말로 가치있다고 생각

되는 해결책을 찾는 소크라테스의 문제 해결 3단계가 꽤 유용하게 쓰일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