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터 프랭클 - 어느 책에도 쓴 적 없는 삶에 대한 마지막 대답
빅터 프랭클 지음, 박상미 옮김 / 특별한서재 / 2021년 12월
평점 :

몇 년 전에 읽었던 김영아 작가의 <나와 잘 지내는 연습>을 읽고 그 책 속에서 발견한 글이
오랫동안 제 블로그 소개를 대신하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구의 글인지도 모르고 꽤 오랫동안 제 블로그 소개글에 있었는데 드디어 알게 되었네요.
바로 <죽음의 수용소에서>의 작가 빅터 프랭클입니다.
<나와 잘 지내는 연습>을 읽고 빅터 프랭클 박사의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구입해 읽었습
니다.
살아야 할 분명한 목적과 의미가 있어서 죽음의 수용소라고 불리우던 아우슈비츠에서도 살
아남을 수 있었다던 빅터 프랭클 박사.
<죽음의 수용소에서>보다 이 책이 읽기가 더 쉬웠습니다.
부모님과 형제들, 첫 번째 아내까지 수용소의 가스실로 보내지고, 남겨진 그는 자신의 원고
를 다시 완성해야 한다는 뚜렷한 목표가 있었기에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프로이트, 아들러와 동시대를 살며 교류했다고 하니 무척 부럽기도 했습니다. 빅터 프랭클
이 한때 아들러에게 배우다가 사이가 틀어져 자신만의 치유법 로고테라피를 시작하게 되었
다고 합니다.
이 책은 <죽음의 수용소에서>와 달리 빅터 프랭클의 자서전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세 살 때 의사가 되기로 마음을 먹고, 어머니께 사람들이 치료약을 어떻게 발명하는지에
대해 자기 주장을 하는 아이의 모습은 어릴 때부터 남달랐다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게다가 어느 날 잠자기 직전 죽음의 공포 때문에 잠자다 깬 후 그에게 평생 따라다닌 질문
은 '삶의 허무함 때문에 인생의 의미를 잃어버린다면?'이었다고 합니다.
결국 그 질문의 답을 찾다가 로고테라피를 완성하게 된 게 아닐까 싶습니다.
친정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며칠전 목사님께 식사대접을 하시면서 '사는 게 너무 덧없고
허무하다'고 하셨답니다.
아버지를 보내는 마지막 날 추도예배에서 목사님께서 하신 말씀이었습니다.
벌써 이십 년도 훌쩍 지난 일이지만 아버지의 그 말씀이 이제 어렴풋이 이해가 될 것 같
습니다.
조금 있으면 저 또한 아버지 나이가 되어 가고, 30대에 한 번 죽음의 고비를 넘겨봤기에
그 말씀이 새삼 더 와 닿고, 빅터 프랭클이 이야기했던 의미있는 삶에 대해 공감할 수 있
었습니다.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읽기 전에 이 책을 먼저 읽는 것이 빅터 프랭클 박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 책을 읽으며 확실하게 깨닫게 된 것은 충분한 사랑을 받은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보
다 힘든 상황을 훨씬 더 잘 극복한다는 것입니다.
'인생을 두 번째로 살고 있는 것처럼 살아라. 그리고 지금 당신이
막 하려고 하는 행동이 첫 번째 인생에서 이미 실수했던 바로 그
행동이라고 생각하라 ' (p158)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