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바꾸는 미래세상과 메타버스
안종배 지음 / 광문각 / 2021년 9월
평점 :
품절


30년 전만 하더라도 거리 곳곳에 공중전화가 있었고, 고속터미널 근처 공중

전화기 부스마다 전화를 사용하려고 사람들이 줄지어 서 있었습니다.


이제는 집 근처에서 공중전화를 찾아보기가 힘들고 초등학생들까지 스마트폰

을 들고 다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1965년에 이정문 화백이 예측한 2000년의 대한민국은 거의 대부분 이루어

졌습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부분의 회사에서 재택근무가 일상화되었고, 학생들은

집에서 태블릿으로 화상수업을 받고 스마트폰으로 영화와 TV를 보는 세상이 되

었습니다.


얼마 전 아들이 선물로 사 준 인공지능 스피커는 얼마나 사람의 말을 잘 듣는지

깜짝 놀랐습니다.


30년 전에 PC로 할 수 있는 일은 너무 적었습니다. 두 개의 플로피디스크를 넣을

수 있는 XT컴퓨터에 윗칸에는 MS/DOS디스크를, 아래칸엔 공디스크를 넣고 프

로그램을 돌렸던 시대.


누구나 손에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이 30년 전의 슈퍼컴퓨터 정도의 CPU속도를

가지고 있는 걸 보면서 앞으로의 세상은 얼마나 더 빨리 변할지 짐작할 수조차 없

습니다.


이 책은 앞으로 펼쳐질 미래세상에 대해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책이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몇 년 전에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컴퓨터 알파고가 바둑대결을 벌였는데 이세돌

9단이 근소하게 이길 거란 사람들의 예측과 달리 알파고가 4 대 1로 이세돌 9단

을 이겨 많은 사람들이 놀랐습니다.


바둑을 좋아하던 친구들은 당연히 이세돌 9단이 이길 거라고 생각했는데 예상과

다른 결과에 다들 놀랐습니다.


인공지능이 바꾸는 미래세상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든 세상

이 되었습니다.


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초월(meta)과 세계•우주(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코로나19로 온 가족이 함께 식사를 하기 힘든 상황에서 디지털 세상에서 현실 세계

가 구현되는 메타버스(Metaverse)로 온 가족이 가상의 레스토랑에 모여 가상의 식

사를 하고 대화를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네이버 자회사인 네이버제트에서 만든 '제페토(ZEPETO)'가 대표적인 메타버스 서

비스입니다. 제페토는 인공지능을 접목한 3D 아바타를 기반으로 가상세계에서 현

실세계에서 하지 못했던 것들도 도전해볼 수 있는 가상 세계 플랫폼입니다.


책에서는 인공지능때문에 바뀌게 되는 비지니스와 직업, 예술, 정치, 언론, 교육 등

에 대해 소개하고 있고 인공지능의 윤리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습니다.


조만간 사라질 수많은 단순업무의 직업군들과 사람보다 우수한 능력을 갖춘 인공지

능이 미래소설 속 디스토피아 세상을 만들 수도 있다는 생각때문에 두려운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미 다가온 미래세상에 대해 무조건 거부할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을 활용하

여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게 지혜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을 읽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