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큰글자책] 사자논어 100선 - 네 글자에 담긴 성현의 지혜
최영갑.김용재.진성수 지음 / 풀빛 / 2020년 7월
평점 :

예수, 석가모니, 소크라테스와 더불어 세계 4대 성인 중 한 사람인 공자.고등학교 시절, 국민윤리 교과서에 등장했던 공자.그 당시 수업을 들으면서 아직까지 기억에 남는 건 <학이시습(지) 불역열호(아)>였습니다.30년이 훌쩍 지나 가물가물합니다.아무튼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라는 뜻이었던 것 같습니다.그 당시엔 시험 때문에 열심히 외웠었는데 오십이 넘어서니 논어를 제대로 읽어보고 싶었 습니다.
중학교때는 우연히 읽게 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에 푹 빠져 살았었고, 몇 년
전엔 니체에 빠졌었는데 정작 동양 고전인 <논어>를 제대로 읽어보질 못해서 아쉬웠는데
좋은 기회가 생겨 <사자논어 100선>을 만나게 되었습니다.책을 펴자마자 감동의 물결이 밀려왔습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책을 읽을 때 작은 글자가 부담 스럽지는 않았는데 갈수록 노안이 심해져 오랜 시간 책을 붙잡고 있기 힘들었습니다.그런데 이 책은 바로 그런 저를 위해 나온 책인 것처럼 글자 크기가 기존 책의 2배 정도 되어 눈이 무척 편했습니다.장애인복지관에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큰글자도서를 보긴 했지만 제가 봤던 그 책은 글자만 클 뿐 줄 간 간격이 너무 좁아 읽기가 불편했습니다.하지만 이 책은 글자가 클 뿐만 아니라 줄 간격도 넓어 아주 편하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책의 제목처럼 논어에 나온 내용을 네 글자로 정리하여 제목을 만들고, 네 글자의 설명과 함께 공자 시대뿐 아니라 오늘날에도 적용될 삶의 지침들에 대해 알려주고 있습니다.100가지 사자논어 중 기억에 남아있는 건 몇 개 되지 않네요.아첨하는 사람들을 말할 때 사용하는 <교언영색>이나 옛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안다는 뜻의 <온고지신>, 지나치는 것은 부족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뜻의 <과유불급>, 자신을 희생하여 다
른 사람을 구하는 <살신성인> 정도가 제가 알고 있던 내용이었습니다.
제일 와 닿았던 것은 정자정야政者正也(정치는 바로잡는 것이다)였습니다.
정치란 사람을 위하는 일이고 위정자들이 모든 일에 솔선수범해야 하는 건 필수 자격 요건이라고
합니다.하지만 선거철에만 바짝 고개를 숙이며 표를 구걸하다가 막상 당선 되면 자신의 이익을 위해 국민 을 뒷전으로 생각하는 요즘 정치인들을 보면 답답하고 짜증이 납니다.부디 책 많이 읽고 좋은 대학 나와 높은 자리에 오르신 분들이 논어를 꼭 읽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자신들의 이익만 챙기지 마시고 그들을 뽑아준 국민의 뜻을 헤아려 좋은 정치를 해주셨으면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