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년 하버드 글쓰기 비법 (리커버) - SNS부터 보고서까지 이 공식 하나면 끝
송숙희 지음 / 유노북스 / 202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20여년 전 주변 사람의 추천으로 어떤 강좌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초급, 중급, 고급 과정을 거친 후엔 전문인 과정까지 4단계 과정이 있었습니다.

그 강의를 같이 들었던 언니들과 3단계까지 같이 들었는데, 3단계를 지나 전문인과정까지 같이 
듣자고 했지만, 전문인 과정은 결국 저 혼자만 듣게 되었습니다.

제가 전문인 과정까지 듣게 된 이유는 그 과정을 개설한 강사님의 실력에 푹 빠져서였습니다.

어찌나 말씀을 잘 하시는지 주변 친구들에게 그 강사님 칭찬을 했더니 한 친구가 그러더군요.

사이비교주를 맹신하는 광신도같다고요. 그만큼 강사님의 설득력이 대단했습니다.

어쨌든 그 강사님께서 하신 말씀이 생각납니다.
학창시절 온갖 글쓰기 대회에서 상을 싹쓸이했고 정식 수필가로 등단도 했다고 하시더군요.

강사님께서는 상을 타려면 심사위원들이 좋아할 만한 패턴의 글을 써야 한다고 했습니다.

소설과 달리 논리적 글쓰기에서는 그 패턴대로 글을 쓰게 되면 일정 수준의 글을 쓸 수 있게 
된다고 하셨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이 책에서 알려주고 있는 <오레오맵> 기술과 유사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저자가 제시하고 있는 <오레오맵>을 활용한 글쓰기 비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레오맵을 시도하기 전에 먼저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내가 쓴 글을 '누가' 읽을 것인지 그 
Target을 설정해야 하고, 독자에게 내가 무슨 말을 하고, 독자에게 어떤 약속을 할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해야 합니다.

이때 독자를 논리적으로 쉽게 설득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저자가 이야기하고 있는 <오
레오맵>입니다.

하버드생이 대학을 다니는 4년 동안 쓰는 글은 50kg이나 된다고 합니다.

그들이 말하는 "힘 있는 글쓰기"의 원칙은 네 가지입니다.

제일 먼저 자신이 주장하는 내용의 핵심을 말하고, 두 번째로는 그 주장에 이유와 근거를 제
시하며, 세 번째에는 그 근거를 증명하기 위한 사례를 다룹니다. 마지막으로 처음에 제시했던 
주장의 핵심을 강조하는 것으로 글을 마칩니다.

이런 "힘 있는 글쓰기"의 4단계 과정을 4년 동안 꾸준히 하다 보면 논리적 사고에 기반한 의사
소통 능력이 길러지게 된다고 합니다.

그 능력이 지금까지도 하버드를 명문대로 이끌고 가는 동력이라고 합니다.

하버드에서 가르치고 있는 "힘 있는 글쓰기"의 4단계 과정이 저자의 "오레오맵"을 활용한 글
쓰기와 유사하다며 비교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읽을 수 밖에 없도록 만드는 글쓰기 공식, 오레오맵을 활용하면 어려운 에세이를 조
금은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논리적인 글쓰기가 필요한 분이라면 꽤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