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책을 탈출한 미적분 - 일상 생활 속 숨은 미적분 찾기
류치 지음, 이지수 옮김 / 동아엠앤비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고등학교 시절 수학을 좋아했었습니다. 노력한 만큼 성적이 올라갔기

때문입니다.


노력을 배신하지 않는 과목이 수학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고등학교 때

친구들이 미적분을 어려워할 때도 기꺼이 알려줄 정도로 수학을 잘하기

도 하고 좋아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수포자"라며 미리 수학을 포기하는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했

는데, 이 책을 읽다 보니 그동안 제가 알고 있었던 수학과는 많이 달랐

습니다.


수학책에서 나오는 문제들은 일정한 패턴들이 있어서 비슷한 문제들

을 열심히 풀다 보면 쉽게 답을 찾아낼 수 있었는데, 이 책은 수학책에

서 알려주고 있는 내용과 접근방식이 달랐습니다.


일상에서 만나게 되는 일들에 미적분이 적용된다는 사실이 무척 신기

했습니다.


축소복사를 했을 때 복사용지를 어느 정도 절약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

용은 수학책에서도 다루어진 내용입니다.


작은 창문 하나를 제외하고 사방이 막힌 방에 중국어를 전혀 모르는 사

람을 가둔 후에 중국어 메모를 전달하면, 방 안에 있는 사람은 중국어

사전만 이용하여 중국어를 해석하고 중국어로 답장을 보내는 훈련을

하게 되면,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에 그 의미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

해도 유창한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다고 주장한 <존 설(John Searle)>

의 '중국어 방' 논증이 꽤 설득력있게 다가왔습니다.


책에 수록된 수학자들의 에피소드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옷 한 벌을 직접 만들어 입을 때 천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적분으로 계산

해낸다는 사실도 흥미로웠습니다.


어항의 수압과 수온에 민감한 관상용 물고기들을 키우기에 적합한 어항

을 선택할 때도 수학과 물리가 도움이 된다고 하니 대학입시가 끝나면

수학을 사용할 일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도 않은 것 같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수학 문제를 접하니 어렵기도 했지만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은 대학입시를 막 끝내고 수학에서 해방되었다고 생각하는 수험생

들이나 미적분이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궁금한 사람들이 읽

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솔직히 "수포자"보다는 수학을 좋아하고 즐기는 사람들에게 더 유익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