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트 콜렉터
캠론 라이트 지음, 이정민 옮김 / 카멜레온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의 대부분을 무언가를 읽고 있는 제게 글을 못 읽는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란 
생각이 듭니다. 

글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 큰 축복이라는 사실을 한 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누구나 
자기나라 말을 쓰고 읽을 수 있는 거 아냐? 라고 생각했었죠. 

그런데 장애인복지관에서 만난 어떤 어르신께서 한글공부를 하신다는 얘길 듣고 깜짝 놀랐
습니다. 

그 어르신은 친정 엄마보다 나이도 더 어리신데도 집안 형편때문에 학교를 다니지 못했고 한
글을 떼지도 못했다고 했습니다. 

제게 "이제야 한글을 배우는 게 창피한데, 그래도 이제는 손자, 손녀들이 보내 온 문자를 읽을 
수 있어서 정말 좋네." 하시며 환하게 웃으시던 모습이 떠오릅니다. 

'승리의 강'이란 아름다운 의미를 지니고 있는 '스퉁 민체이'는 캄보디아에서 가장 큰 쓰레기 
매립장입니다. 높이가 수십 미터에 이르는 쓰레기산이지만 이곳에도 판잣집 같은 가건물을 설
치하고 사람들이 살고 있습니다. 

매월 첫째 날엔 스퉁 민체이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의 집세를 걷으러 다니는 '소피프'를 볼 수 
있습니다. 

소피프는 늘 술에 취해 있지만 땅 주인들을 대신해 집세를 걷으러 다니는 날만큼은 술에 취해 
있지 않고 사람들을 들들 볶아댑니다. 

기 림과 상 리는 쓰레기를 주워 생활을 하지만 어린 아들 니사이가 아파서 병원에 다니느라 
집세를 마련하기도 힘들거니와 열이 떨어지지 않는 아들 때문에 걱정이 많습니다. 

어느 날 남편 기 림이 쓰레기 매립장에서 아들을 위해 가져온 찢겨진 그림책 한 권. 

남편은 상 리에게 그림책을 건네고 돈이 될만한 걸 찾으러 다시 밖으로 나가지만 강도를 만
나 돈도 잃고 다치고 맙니다. 

집세를 낼 돈을 치료비로 쓰라고 남편에게 건네준 후 소피프가 찾아옵니다. 

소피프는 집세가 준비되지 않았다는 걸 알고 다음 날까지 집을 비우라고 합니다. 

큰 소리로 우는 아이 옆에 있던 그림책을 발견한 소피프가 갑자기 울부짖기 시작합니다. 

그 책을 빌려달라던 소피프는 나중에 상 리를 찾아와 책값 대신 한 달치 집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상 리는 찢어진 그림책을 보고 울었던 소피프를 보고 소피프가 글을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해 
자신에게 글을 가르쳐달라고 부탁합니다. 

'왜 글을 배우고 싶냐'는 소피프에게 상 리는 아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위해서'라고, '그림책을 
읽어주고 싶어서'라고 말합니다. 

책을 읽는 것이 아픈 니사이에게 도움이 되고 희망이 될 거라는 상 리에게 "만약 희망을 찾고 
있는 거라면, 스퉁 민체이에서 희망은 죽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거야."라고 말하는 소피프. 

하지만 소피프는 매주 금요일마다 청주 한 병과 숙제를 빠짐없이 해 온다는 조건으로 그 제안
을 받아들입니다. 

병원에 가도 원인을 알 수 없는 니사이의 병.

그럼에도 꾸준히 금요일 수업을 받고 아이에게 더듬더듬 책을 읽어주는 상 리. 

단순히 글을 읽는 것에 그치지 않고 문학을 배우고 시가 때로는 사람의 마음을 변하게 한다는 
사실도 깨닫게 됩니다. 

상 리는 수업을 하면서 소피프에게 남다른 큰 아픔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이 책은 저자의 아들이 스퉁 민체이에서 실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을 취재한 다큐멘터리 영화 
<승리의 강>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합니다. 

소설이지만 책 속에 등장한 기 림, 상 리, 니사이는 실존 인물로 책의 뒷 부분에 그들의 사진이 
실려있어서 실제로 있었던 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최근 들어 책을 읽으면서 울어본 적이 없는데 오랜만에 실컷 울었던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