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파는 상점 2 : 너를 위한 시간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75
김선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간을 파는 상점》에 대해 여기저기서 좋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터라 어떤 내용일지

꼭 읽어보고 싶었습니다.

마침 《시간을 파는 상점》 2편이 출간되었길래 2권부터 읽게 되었는데 무척 재미있었

습니다.

단숨에 2권을 읽고 나니 1권이 궁금해져 동네 작은 도서관에서 《시간을 파는 상점》

1권을 빌려 1.2권 모두 완독을 했습니다.

영화나 책 중에 대부분 속편이 더 좋기가 힘들다고 하던데 전 1편보다 2편이 더 좋더

군요.

2편을 읽으면서 《시간을 파는 상점》의 주인장들의 이름들이 여자인지 남자인지 애매

해서 1편을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는데 읽어보길 잘 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편에서는 소방관이셨던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엄마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려고

아르바이트를 시작한 온조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첫 알바와 두 번째 알바에서 쓰디 쓴 경험을 하게 되고 두 번의 경험에서 얻은 교훈으

로 인터넷 카페 <시간을 파는 상점>을 오픈하게 됩니다.

1권에서는 온조 혼자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담았다면, 2권에서는 1권에서 만났던

친구들과 힘을 합쳐 <시간을 파는 상점>을 통해 세상을 조금이라도 좋은 방향으로 나

아가게 하는 과정이 들어 있습니다.

《시간을 파는 상점》 2권에서 첫 번째로 들어온 닉네임 '새벽5시'의 의뢰는 생각보다

많은 것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었습니다.

'새벽5시'는 지킴이아저씨의 복직을 도와달라고 합니다. 단, 어느 한 사람도 불이익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누구도 주동자가 되어서도 안 되고 또 모두가 주동자가 되어야 한

다고 말합니다.

<시간을 파는 상점>의 운영 멤버들은 지킴이아저씨의 복직을 위해서는 많은 인원을

모아 여론을 형성하고 SNS를 이용하자고 결론을 내리고 행동에 옮깁니다.

아이들과 학부모들의 집단 시위로 지킴이아저씨는 무사히 학교로 돌아오고, 그 보답

으로 지킴이아저씨는 몸이 불편해 가족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안락사를 원하는 아저

씨에게 살아가야 할 이유를 알려주고 그 분에게 좋은 친구가 되어줍니다.

정말로 어딘가에 온조와 친구들의 <시간을 파는 상점>이 존재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가 다른 사람을 위해 나의 시간을 팔고 또 다른 사람은 나를 위해 자신의 시간을

내어주는 그런 상점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간을 공유하는 것은 어쩌면 우리가 한 번도 맛보지 못할 경험을 줄지도 모른다.

벌써부터 설렜다. 120년 혹은 150년까지 살 수도 있다는 말을 듣고 아이들은

탄식과 같은 비명을 질렀다. 숨이 턱 막혔다. 지루하지 않게 살 수 있는 방법은,

새롭게 보는 눈을 가진 자만이 가능하다고 했다. 똑같은 일상이지만 매일매일

다른 날이며 이 우주에서 처음 온 날이기 때문에 새로운 지점을 발견하는 것이

삶의 유연성을 기르는 것이라고 했다. 온조는 그동안 풀리지 않았던 실마리를

잡은 것 같아 생각의 봇물이 걷잡을 수 없이 터지는 걸 느꼈다.

행복의 기준이 돈과 명예의 축적이 아니라 경험의 축적으로 옮겨 간다면, 삶을

더 풍요롭게 누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까지 다다랐다. (56쪽)

우리의 경험을 막지 말아 주세요.

단지 먼저 살아 봤다는 것으로 모든 힘듦을 사전에 차단하려고 하지 마세요.

경험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이 있어요.

그로 인해 더 높이 더 멀리 뛸 수 있는 힘이 생겨요.

경험의 범위를 자꾸만 재단하려고 하지 마세요.

우린 더 높이 날 수 있는 자유를 꿈꿔요.

슬픔도 아픔도 실패도 없이 어떻게 성숙이 오나요.

아프게 치른 만큼 되돌려주는 것도 그것에 상응하는 선물이 아닐까요?

꽃길만 걷자라고 하는데, 어떻게 삶이 꽃길만 있을 수 있나요.

우리의 경험을 막지 말아 주세요.

우리는 다만 내가 부르는 노래 속에 나의 이야기를 담고 싶을 뿐이에요. (129쪽)

살아간다는 건 그 속에서 줄타기하듯 균형을 잘 잡는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객관

적 거리를 잘 유지하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늘 의심해 보는 것. (1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