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희망 버리기 기술 - 엉망진창인 세상에서 흔들리지 않고 나아가는 힘
마크 맨슨 지음, 한재호 옮김 / 갤리온 / 2019년 9월
평점 :
《신경끄기의 기술》이라는 베스트셀러를 쓴 작가의 책, 《희망 버리기 기술》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신경끄기의 기술》을 읽고 싶었지만 아직 못 읽고 있던 중에 어쩌면 비슷한 맥락의 글일 것 같아
선택한 책입니다.
<남의 눈치를 보지 않고 신경끄고 자기 할 일을 하라>는 이야기가 아닐까 싶은데...
'열심히 하다 보면 언젠간 꼭 성공할거야'라는 막연한 기대를 갖기 보다 '잘 될 거야'라는 기대를
버리고 열심히 노력하다가 '잘 되면 좋은 것이고 안 돼도 최선을 다 했으니 그것만으로도 충분해'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제 생각과 얼추 비슷한 것 같아 읽게 되었습니다.
술술 잘 읽힐 거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는 책장이 잘 넘겨지지 않았습니다.
저자는 사람의 마음을 '의식 차'라고 설정하는데, 의식 차 안에는 두 여행자가 있습니다. 생각하는
뇌와 감정을 느끼는 뇌. 생각 뇌는 논리적인 사고를 가지고 자신의 삶을 계획하지만 감정 뇌는 미래
를 준비하지 않고 매사에 즉흥적인 감상파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차의 운전석에 생각 뇌를 앉히고 싶지만 실제로 의식 차를 운전하는 것은 감정
뇌인 경우가 많습니다.
감정 뇌가 운전을 하게 되면 잘못된 목적지로 가게 될 확률이 많기 때문에 의식 차가 경로를 이탈
할 때 제대로 된 경로를 알려주는 것이 생각 뇌라고 합니다.
올바른 삶을 살기 위해서는 감정 뇌와 생각 뇌가 서로 힘을 합쳐야 하는데 그 때 필요한 것은 올바
른 가치관과 목표 설정입니다.
올바른 가치관과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되 '잘 될 거야'라는 희망을 버리는 것,
그것이 엉망진창인 이 세상에서 무너지지 않고 앞으로 전진할 수 있게 해 준다고 합니다.
저자는 어른이 되기 위해서는 고통을 견뎌내는 능력이 있어야 하고 그것은 우리가 희망을 버릴 때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열심히 노력하면서도 잘 될 거란 기대를 하지 않는 것, 어쩌면 그것이 삶의 지혜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열심히 하면 앞으론 나아지겠지'라는 생각을 하다가 전혀 희망이 안 보일 때 절망에 빠지게 되는데,
만약 아예 희망을 갖지 않고 묵묵히 어둠을 헤쳐나가다 보면 의외로 생각지도 못하던 곳에서 한 줄기
빛이 비칠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듭니다.